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다이빙 中대사 “중국, 대만 유사시 한미동맹 움직임 엄중 우려”

2025-11-14 13:32 정치

 어제(13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한·중 언론사 기자 간담회'에서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운데)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장하얀 기자)

다이빙 주한국중국대사가 최근 주한미군이 대만 유사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등 한반도를 넘어 역할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 것에 대해 "한미동맹이 대만 유사시 움직임을 취하는 것에 중국은 엄중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며 경계감을 드러냈습니다. 또 "새로운 동향이 있다면 중측은 엄중한 우려를 표명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이 대사는 13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는 채널A 등 국내 일부 언론사들이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다이 대사는 한미 간 '동맹 현대화' 움직임에 대해 한반도 대북 대응을 넘어 대중 견제로 확대돼선 안 된다는 취지의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중국은 세계 각국과 수교할 때 수교 문서에 '하나의 중국만 있고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고 명확히 적혀있다"며 내정 간섭을 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대만 문제를 공론화 한 일본 다카이치 내각에 대해서도 "잘못됐고 용납할 수 없다"며 한미동맹도 대만 문제를 민감히 다뤄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다이 대사는 한중관계와 관련, "양국은 계속 좋은 이웃, 친구이자 동반자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국내에서 이뤄지는 반중 집회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거짓에 기반해 중국을 먹칠하고 한중관계에 해를 끼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또 최근 여당에서 발의한 '특정집단 명예훼손 처벌법'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언급하며 "중국을 견제하는 세력에겐 한국인들의 지지도 없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한편 양국 간 민감한 현안 중 하나인 '서해 불법 구조물' 철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는 "해당 시설은 심해 어류 양식 시설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 "중국이 추진하는 심해양식 사업은 국제법에 부합한다"면서 한중어업협정 위반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kimst_1127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