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오늘 기념 강연을 열었습니다.
자신의 8살 아들 수학 교육하는 비법까지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는데요.
전혜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저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을 꿈꿨어요. 저는 수학이 같은 일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한국계 최초로 '필즈상'을 안고 금의환향한 허준이 미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 난제를 푼 비결을 묻자 "어렵기 때문에 재밌는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마라톤을 기꺼이 훈련을 통해서 준비해서 매년 참가하고, 또 굉장히 무거운 역기를 들어야 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루도 빠짐없이 가서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수학이 쉬우면 아마 굉장히 재미가 없을 거예요."
자신 또한 8살인 아들이 낸 수학 문제를 매일 풀어본다면서 스스로 깨닫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첫째 아들 단이가 하루에 한 문제를 만들어오면 제가 그 문제를 풀고, 단이가 채점을 해주는 그런 식으로 진행을 하고 있어요. 예컨대 동그라미 몇 개 그려놓고 몇 개인지 정확하게 세어서 답을 쓰시오. 천천히 같이 세어보는 과정이 저는 수학적,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어요."
한국 고등학생 세 명 중 한 명이 '수학포기자'인 현실에 대해서는 경쟁 지향적인 사회문화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학생들이 소중한 학창시절을 공부하는 데 사용하는 게 아니라, 잘 평가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 있지 않은가 싶어요."
자신의 연구가 AI인공지능 등 미래 기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는 허 교수는 학생들에게 따뜻한 조언도 잊지 않았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과감하게 거침없이 실수없이 완벽하게 하는 것보다는, 자기 마음이 이끄는 대로 폭넓고 깊이있는 공부를 해주셨으면 하고요."
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
영상취재 이성훈
영상편집 최창규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오늘 기념 강연을 열었습니다.
자신의 8살 아들 수학 교육하는 비법까지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는데요.
전혜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저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을 꿈꿨어요. 저는 수학이 같은 일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한국계 최초로 '필즈상'을 안고 금의환향한 허준이 미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 난제를 푼 비결을 묻자 "어렵기 때문에 재밌는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마라톤을 기꺼이 훈련을 통해서 준비해서 매년 참가하고, 또 굉장히 무거운 역기를 들어야 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루도 빠짐없이 가서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수학이 쉬우면 아마 굉장히 재미가 없을 거예요."
자신 또한 8살인 아들이 낸 수학 문제를 매일 풀어본다면서 스스로 깨닫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첫째 아들 단이가 하루에 한 문제를 만들어오면 제가 그 문제를 풀고, 단이가 채점을 해주는 그런 식으로 진행을 하고 있어요. 예컨대 동그라미 몇 개 그려놓고 몇 개인지 정확하게 세어서 답을 쓰시오. 천천히 같이 세어보는 과정이 저는 수학적,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어요."
한국 고등학생 세 명 중 한 명이 '수학포기자'인 현실에 대해서는 경쟁 지향적인 사회문화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학생들이 소중한 학창시절을 공부하는 데 사용하는 게 아니라, 잘 평가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 있지 않은가 싶어요."
자신의 연구가 AI인공지능 등 미래 기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는 허 교수는 학생들에게 따뜻한 조언도 잊지 않았습니다.
[허준이 /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과감하게 거침없이 실수없이 완벽하게 하는 것보다는, 자기 마음이 이끄는 대로 폭넓고 깊이있는 공부를 해주셨으면 하고요."
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
영상취재 이성훈
영상편집 최창규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