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얽히고설킨 동북아 정세, 세심하게 접근해야

2012-08-16 00:00   정치,정치,국제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이처럼 동해와 서해, 동중국해에는
험한 파도가 치고 있지만
북중 국경지대에는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경제특구 활성화를 비롯한
경협 가속화에 합의하며
밀월관계 회복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북한은 남측과는 여전히 대립각을 세우면서도
일본과는 관계개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오는 29일에는 4년 만에 정부간 대화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경제난 타개를 위해 중국에 기대고
외톨이가 된 일본에도 손짓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동북아의 정치지형과 외교관계가
왜 이렇게 복잡하게 얽히게 됐을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떤 전략으로
동북아의 신질서 재편에 임해야 할까요

끝으로 박창규 기자가 해법을 모색해봅니다.



[리포트]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강경 발언에
일본은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가 분명합니다.

일본에겐 속사정이 있습니다.
임박한 총선 때문에 정치인들이 애국심을 내세워서 표를 얻으려는
의도가 숨어있습니다.


중국이 유발하는 마찰도 내부사정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니까 그게 유지되려면 국민을 답합시켜서 끌고 가야되거든요. 이데올로기가 필요해요. 그래서 대체 이데올로기가 민족주의로 바뀌어 나타나는 거 같아요."


북한은 이런 틈바구니 속에서
실리를 찾기 위해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장성택이 중국을 방문했고 일본과도 대화를 재개합니다.
역시 절박한 이유가 있습니다.


"김정은은 주민들에게 내세울만한게 없죠. 가장 큰 과제는 민생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겁니다. 최근 움직임들은 민생 해결하고 민심 수습하려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저마다의 속사정으로 복잡하게 얽힌 동북아 정세.

한국이 이런 파고를 헤쳐가려면
좀 더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표계산을 앞세우는
대응을 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 조차 "청와대가 포퓰리즘에 기대고 있다"며
"국민 감정에는 부합할지 몰라도 그 대가는 다음 정부가 진다"고 비판했습니다.


"(외교에서는) 디테일하고 미묘한 고려사항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어떤 방법론이 바람직한지는 전략적으로 조율될 필요가 있습니다."


연말 대선에 도전하는 후보들도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기에 앞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합니다.

이런 면모는 올 대선에서 미래의 지도자를 골라내는 기준의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채널A 뉴스 박창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