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북새통’ 응급실은 이제 그만…응급실 가기 전 진료 정보 먼저 본다.
2023-03-21 17:11 사회


21일 오전 고대구로병원 응급실.

외상부터 심혈관, 뇌 질환같은 응급 상황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30여 명이 치료받고 있습니다.

 고대구로병원 응급실에서 응급환자가 치료받고 있다

이곳은 서울 서남지역의 중증환자 응급진료를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입니다.

다른 응급실보다 의료진이 많고 입원병상과 중환자실 병상이 별도로 마련됐습니다.

입원과 동시에 수술도 가능하지만 '응급실 과밀화'는 늘 숙제입니다.

 왼쪽부터 박성준 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김현 원주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최성혁 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박성준 / 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구급대가 응급실에 (환자들) 입원을 할때 제일 힘든 점은 응급실이 과밀화가 돼서 환자를 이송을 못하는 겁니다. 중증 환자들을 입원 시키려면 대학병원이 있어야 되거든요. 그런데 종합병원은 또 병동이 과밀화 돼 있으니까…"

 서울아산병원 음압격리응급실

서울 아산병원 응급실.

36개 음압 격리 병상에서 환자들이 치료받고 있습니다.

현장 의료진들이 호소하는 어려움 중 하나는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전원' 문제입니다.

응급조치 후 입원이 가능한 병원을 수소문하는데 현재는 의료진이 여러 병원에 전화를 돌려가며 병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김원영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김원영 /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응급실에서 전원이 안 돼서 하루 이틀 기다리는 분들도 있습니다. (전원을 위해) 20~30곳 전화해보고 그다음 날 20~30곳 전화해보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응급 환자의 이송→응급실 진료→수술 입원 등 최종 치료까지 응급의료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전 국민이 응급 의료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2027년까지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발열이나 통증 등 주요 증상과 환자의 위치, 연령, 성별 등을 입력하면 알고리즘에 따라 방문할 수 있는 인근 의료기관을 안내받게 됩니다.

대기인원과 평균 체류시간 등이 안내될 예정인데, 실시간 혼잡정보를 제공해 특정 기관으로의 환자 쏠림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포털사이트나 SNS 연계도 검토 중입니다.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 (자료=보건복지부)
 
병원 전원을 위해 수십 통씩 전화를 돌려야 하는 등 환자 이송 지연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정보제공 플랫폼도 전면 개편합니다.

구급대는 이송 단계에서 응급실 가용 병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의료기관은 간단한 조회만으로 수술실과 중환자실 사용 여부와 가용병상, 질환별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실시간으로 타 병원과 소통할 수 있는 메신저 기능도 구현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입니다.

역할이 일부 겹치면서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체계도 ▲중증 ▲중등증 ▲경증 응급의료기관으로 명확히 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비응급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는 경우 본인부담금이 커지는 걸 사전 안내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호영, 조승현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