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선이 간다]법원·묘소 지킨 ‘정인이의 엄마·아빠들’

2021-05-14 19:48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앞서 검찰은 양모에게 아동학대치사 혐의만 적용했지만, 많은 시민들의 마음이 모여 살인죄도 추가됐습니다.

평범한 직장인과 주부들이 정인이의 엄마·아빠가 되어주겠다며 법원 앞에서 엄벌을 외치고 묘소를 가꾸고 있었습니다.

제가 직접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법원 밖에서 정인이 양부모의 선고 결과를 들은 한소리 씨가 결국 울음을 터뜨립니다.

[현장음]
안돼 울지마.

[인터뷰: 한소리]
정인아 우리는 끝까지 싸웠는데 (양부모가) 항소를 해도 꼭 엄벌 끝까지 받을 수 있게 우리가 싸워주고 바꿔줄게.

세 살 아이의 엄마인 주부 한소리 씨는 재판이 없는 날에도 법원 앞을 지켰습니다.

[인터뷰: 한소리]
(팔 안아프세요?)
괜찮아요.
(어떤 계기로 시작하게 되셨어요?)
부모는 자기 자식이 잘못 되면 진실을 밝혀 달라하고 가해자들을 엄벌해달라고 하는데 정인이는 그런 보호자가 없는게 너무 마음이 아파서 정인이를 위해서 싸워줘야 되겠다해서 시작하게 됐고요.

[인터뷰:박제이]
(거의 매일 이렇게 하세요?)
회사가 바로 옆이거든요. 그래서 아침에 혹시 나와서 하면 판사님이나 관계자분들도 출근하시면서 봐주시지 않을까 하는 작은 마음으로 시작하게 됐어요.

경기도 양평에 있는 정인이의 묘소도 생면부지의 시민들이 보살핍니다.

[인터뷰]
(일주일에 몇 번 정도 오세요?)
자주 올 때는 3번 정도 오고요. 못 와도 1~2번 오려고 해요. 치우지 않고 놔두면 또 망가지는 일이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안 올 수가 없더라고요. 한번 시작한 일이니까…

정인이 사건 이후 아동학대 방지 시민단체를 찾는 시민들이 많아졌습니다.

[인터뷰 : 공혜정 /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대표]
예전에는 울기만 하고 끝냈다면 이제는 뭐라도 하나 돕고 싶어 하세요.

[인터뷰 : 김현주]
시간되는 분들 다 모여서 용인 물 고문 이모 부부 학대 사망 공판도 가고 있고요. 갈 데가 너무 많아요 진짜.

숨진 아이들을 살릴 기회가 있었다는 사실이 더 안타까울 뿐입니다.

[인터뷰: 김현주]
분명히 구할 수 있는 아이였는데 그게 너무 억울했어요. 경찰도 있고 아동보호기관도 있고 우리나라 진짜 많잖아요.

[인터뷰: 공혜정 ]
정부가 제대로 책임을 다 하고 예방을 했다면 국민들이 이렇게 울 일이 뭐가 있으며 시민들이 내가 미안해 미안해 죄책감에 시달릴 일이 뭐가 있었겠습니까.

짧고 아픈 삶을 살고 간 정인이의 이름이 더이상 우리에게 미안함으로만 남지 않길.

[인터뷰]
(아기 자리 가꿔주실 때 마음이 어떠세요?)

솔직히 실감 안 나요. 정말 실감 안 나요. 저곳에 아이가 있다라는 것도 실감이 안 나고 웃는 모습 보면 너무 예쁘잖아요. 꼭 어딘가 있을 것 같고 그래요.

여인선이 간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