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아는기자]권영세·이양수 ‘당원권 정지 3년’…예상보다 센 결정?
2025-07-25 19:12 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풀어보겠습니다.
Q. 권영세, 이양수 의원에 대해 '당원권 3년 정지' 결정이 나왔어요.예상보다 꽤 센 결정이죠?
최종까지 확정된다면 매우 센 조치입니다.
당원권 정지 징계 기간이 1개월부터 3년까지거든요.
제명과 탈당 권유 다음으로 최고 수준의 징계, 요구한 셈입니다.
당원권이 정지되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박탈됩니다.
사실상 다음 총선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 못 하는 거죠.
전당대표 투표도 못합니다.
지난 대선 패배 이후 사실상 처음 실질적인 '인적 쇄신안'이 나온 거죠.
Q. 두 의원, 뭘 잘못했다는 거예요?
김문수 전 장관에서 한덕수 전 총리로, 대선 후보 기습 교체 시도가 있었던 5월로 돌아가보겠습니다.
5월 9일 밤 10시 국민의힘 의총에서 '후보 교체' 결정 권한을 비대위에 일임했죠.
다음날 새벽 1시 비대위와 선관위가 동시 소집돼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했고요.
새벽 2시 반 당 선관위가 공고를 올려 한덕수 전 총리만 새벽 3시쯤 후보 등록 신청을 했죠.
비대위가 한 전 총리를 대선후보로 의결한 겁니다.
당시 비대위원장이 권영세, 당 선관위원장이 이양수 의원이죠.
당무감사위는 이같은 교체 시도를 당헌 당규상 근거 없는 불법 행위라고 본 겁니다.
Q. '쌍권' 중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징계 대상에서 빠졌는데 이유가 뭔가요.
당무감사위원장의 설명은 이렇습니다.
"권성동 의원이 당 선관위원장이나 비대위원장만큼 책임질 만한 일은 없다"는 건데요.
"당이 어려운데 광범위한 징계가 바람직하냐"는 논의도 있었다고 합니다.
Q. 친윤 쇄신,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가요?
윤희숙 혁신위원장, 최근 인적 쇄신안 내놨지만, 사실상 불발됐잖아요.
이번엔 당무감사위가 두 의원에게 책임을 물은 건데, 이게 당내 역학 관계도 봐야 합니다.
당무위가 '당원권 3년 정지'를 결정했다고 최종 확정되는 건 아닙니다.
Q. 역학 관계라는 게 뭔가요?
후보 강제 교체에 대한 당무감사, 누구 지시로 시작된 걸까요.
'잘못된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해온 '쇄신파'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의 요구로 시작됐습니다.
두 의원 징계를 권고한 당무위원장 등 7명의 당무위원은 한동훈 전 대표가 임명했고요.
이들이 징계,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당무 감사를 의뢰하고 실시한 쪽은 쇄신파와 가까운 거죠.
Q. 두 의원의 징계 여부를 최종 결정할 기구는 또 다르다는 거예요?
최종 징계 여부를 심사할 당 윤리위원장은 권영세 비대위원장 시절 임명한 여상원 변호사입니다.
권 전 위원장과 서울대 법대 77학번 동기라고 하죠.
여 변호사는 "윤리위가 최종 징계 수위 결정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당내에선 당무위 징계안이 뒤집힐 가능성 높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당 윤리위는 당 대선후보를 비난했다며 최근 '친한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하기도 했습니다.
Q. 징계 의결을 두고 반응도 엇갈리네요.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하는 쇄신파에선 "대선 패배 원인이 규명됐다"며 반겼지만, '당 단합'을 앞세운 구주류는 반발하며 당이 반쪽으로 갈라졌거든요.
지금 국민의힘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이남희 기자irun@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