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남은 63명 ‘못다 푼 한’…위안부 문제 전방위 압박 필요
2012-03-02 00:00 정치,정치,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어제 3.1절을 맞아
이명박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를 직접적으로 거론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강한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그렇다면 그동안 우리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고
어떤 노력을 해왔을까요?
정호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3년 생활안정지원법이 만들어지면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매달 95만원의 생활자금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습니다.
연간 1200만원 한도 내에서
간병비도 지급됩니다.
지차체별로는 월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60만원의 생활보조금도 나옵니다.
줄잡아 월 150여만원 가량을 지원받고 있지만
경제적 문제보다 더 큰 건
평생 한이 맺힌 마음 속 응어립니다.
1992년 1월 8일 시작된 수요집회는
어느 덧 천회를 훌쩍 넘겼고
할머니들의 애절한 외침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위안부 피해 할머니]
"또 당해야 해요. 후세들 다 당해야 해요. 우린 죽어도 괜찮아. 우린 속에 있는 말 다했어"
현재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모두 234명.
반세기 넘는 세월 앞에 생존자는 단 63명 뿐으로
그마저 아흔 살의 고령이 대부분입니다.
[전화인터뷰 :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
"할머니들이 시간이 없기 때문에 해결을 위한 행동적인 것을 강하게 원하고 있죠"
일본은 지난해 우리 정부가 제안한 양자 협의엔 응하지 않은 채
원론적인 얘기들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부가 국제사법재판소에
위안부 문제를 회부하는 등
전방위 압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채널A 뉴스 정호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