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노인도 일하고 싶다…고령층 일자리대책 시급
2012-03-06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퇴직 후 노인들의 일자리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정부가 제공하는 저소득 공공일자리도
경쟁률이 평균 2대 1이 넘는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자녀에게 기대기도
어려운 것이 요즘 어르신들인데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먼저 백미선 기잡니다.
[리포트]
퇴직 전 20여년 동안
외국계 자동차 회사에서 일한
최정자 씨.
최 씨는 퇴직 후 지금
초등학교에서 급식 도우미로
일하고 있습니다.
3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일을 하게 된 것만으로도 다행이지만,
자신의 전문분야나 영어 능력을 활용할 수 없는 게
못내 아쉽습니다.
“이력서 내면서 외국인말 필요한데로 가고싶다고 얘기도했어요, 그런데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카센터를 운영했던 박봉래 씨는
초등학교 앞에서 교통 지도를 합니다.
한달에 받는 돈은 20만원 남짓.
직접 일을 하지 않으면
생계가 빠듯해 보수가 많은 다른 일을 찾아봤지만
일자리 구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아직 나는 건강면으로나 모든 면으로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사회가 알아주지 않으니까.”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550만 명.
이 가운데 그나마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일자리를 얻은 사람은 20만 명에 불과합니다.
“(노인들이)각각의 자기의 능력이나 지위에 맞게 일할 수 있는
여러 여건들이 이미 형성되있다는 거죠. 거기에 맞춰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들어주는게 중요합니다."
수명은 느는데, 퇴직은 빠르고,
퇴직 후 일자리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운 상황.
전문가들은 정년연장, 임금피크제,
맞춤형 사회적기업 등 고령층 일자리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모색되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채널에이 뉴스 백미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