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서민의 발’ 지하철, 달릴수록 적자

2012-04-18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요금 인상을 기습 통보해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리 바 있는데요.

그런데 지하철 만성 적자는
비단 서울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지방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하철도
해마다 적자가 쌓이면서 골칫덩어리가 되고 있습니다.

정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하철 9호선의
기본요금 5백원
인상 계획에 대해
서울시는 과태료 천만원을 부과하기로했습니다.

일방적인 요금 인상 통보는
불법이라는 이윱니다.

[류경기/서울시 대변인]
"요금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고
그런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공고한 것은
도시철도법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지하철 적자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2,3,4호선과
서울도시철도의 5,6,7,8호선도 마찬가지 문젭니다.

서울 지하철의
지난해 운영적자는 5748억원,
부채는 3조409억원에 이릅니다.

지난 2월, 서울시가
지하철 요금을 150원 올렸지만
여전히 운송원가의 80퍼센트 수준.

해마다 적자가 쌓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서민경제 부담을 고려해
요금을 올리기도 어렵습니다.

[인터뷰:고복희/서울 정릉동]
"더 오르면 안되는데..서민들은 더 오르면
안되지요.이 정도만 해도..그래도 매일 다니는 거니까..."

서울 뿐 아니라
광주나 부산, 대구 등
지방의 지하철도 매년 수천억원의
적자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등 무임승차 비중이 전체 승객의
13퍼센트에 달하고 있는 것도 큰 부담입니다.

때문에 각 지자체는
KTX의 운영손실을 정부가 보전해주는 것처럼
지하철에 대해서도 지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윤준병/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서 정부가 시행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그 책임에 상응하는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부는 예산문제로 난색을 표하는 상황.

지하철의 만성 적자는 서비스질 저하와
승객들의 안전소홀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하철의 자구책과 정부 차원의 해법이 시급한 상황.

전문가들은 또한 경제성을 철저히 따지지 않은 채
지하철 공사부터 시작하는 행태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채널A 뉴스 정민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