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아리랑 3호, 日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서 발사성공

2012-05-18 00:00   국제,문화,문화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남)
지구관측위성인 '아리랑 3호'가
오늘 새벽 우주 궤도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여)
일본 우주센터에 현지에 있는
동아사이언스 이현경 기자 연결합니다.

이현경 기자.
(네, 여기는 다네가시마 우주센텁니다.)

[질문1]
아리랑 3호가 무사히 발사 됐죠?




[리포트]
[답변1]
네, 한국의 세 번째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오늘 새벽 1시 39분 어둠을 가르고 이곳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습니다.

아리랑 3호는 새벽 1시 55분
지구 상공 676.35㎞ 지점에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그리고 새벽 3시 18분 대전 지상국이
아리랑 3호와 교신에 성공하면서
발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아리랑 3호는 현재 목표 궤도에 안착했으며
태양전지판을 펼쳐 전기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질문2]
아리랑 3호는 앞으로 어떤 일을 합니까?

[답변2]

아리랑 3호는 하루에 지구를 14바퀴 반을 돌면서 지상을 촬영하게 됩니다.
아리랑 3호에는 해상도 70㎝급의 광학카메라가 달려 있는데요,
이 정도면 승용차가 대형인지 소형인지 구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밀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아리랑 3호는 앞으로 4년간 지상의 구석구석을 관측하며 자연재해, 대형 재난 감시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2006년 해상도 1m급인 아리랑 2호를 발사해 운용 중에 있는데요,
아리랑 3호는 아리랑 2호와 함께 한반도 주변의 관측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질문3]
이번 발사로 한일 양국 관계에 따뜻한 기류가 형성됐지요?

[답변3]
아리랑 3호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제작한 H-IIA 로켓에 실려 올라갔습니다.
지금까지 일본은 H-IIA 로켓으로 스무 차례 발사를 진행했는데요,
외국 위성을 쏘아 올린 건 이번, 한국의 아리랑 3호가 처음입니다.
미쓰비시중공업 측은 한국이 첫 해외 손님인 만큼 각별히 신경을 썼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네가시마 우주센터가 있는 지역 주민들은 우주센터로 향하는 길목에 ‘아리랑 3호의 발사 성공을 기원한다’는 한글 플래카드를 걸어 이런 분위기를 짐작케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아리랑 3호의 발사 성공을 계기로 앞으로 동남아시아 등 위성 발사 서비스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쓰비시중공업 측은 현재 10여개 나라와 위성 발사 서비스에 관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네가시마에서 동아사이언스 이현경 기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