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탄생의 의미 (최영일)
2012-12-20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남)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탄생,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여)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자세히 알아봅니다.
안녕하십니까.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0.지난번에 이 자리에서 4-5%차이로 승부가 벌어질 것이라고 예측을 했는데, 맞췄다. 그때 후보는 말 안했는데, 박 당선인이었는가. 깜깜이 기간이었는데, 박 당선인이 계속 우세했는가. 판단의 근거.
0-2.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 동안의 지지율은 어땠나. 17-18일엔 문 후보가 앞섰다는데.
1. 박근혜 후보의 당선으로 사상 첫 여성대통령이 탄생했다.
과반 득표, 최다 득표 당선인데... 박 후보의 승리 요인을 꼽는다면?
1-2.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 된 것,
국민들이 변화보다 안정을 택한 결과라고 봐야하나?
2. 사실 15대 대선 이후 최고 투표율 기록하면서 투표율이 올라가면 야당이 유리하다... 이런 이야기가 돌았지만 결과는 박 후보의 과반 득표 승리. 5060 세대가 두터워졌다고 봐야하나.
3. 문 후보의 패배 이유는 뭘까.
3-2. 문 후보는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안철수 전 후보와의 단일화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그런데 이 단일화가 양날의 검이 됐다는 분석이 나오는데. 이유는?
3-3. 이정희 후보의 노골적인 비난. 되레 박 당선에 기여?
3-4. 민주당 앞날은.
4. 이번 선거에선 지역별 차이가 컸지만 세대별로 너무 다른 투표 행태가 눈에 띄었다. 2030에선 문 후보, 5060에선 박 후보 지지도가 크게 높았는데. 이 간극을 어떻게 메워야 하나?
5. 제주지역 득표 1위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속설이 이번에도 통했다. 제주지역 적중률 높은 이유가 뭔가?
6. 박-문 승패 가른 곳은 충청지역이다. 대전, 충남, 충북, 세종 전 지역에서 박 후보 승리했는데. 충청승리가 곧 대선승리라는 공식이 또 통했다. 충청표심이 박 후보에게 기운 이유는?
-반면 그동안 서울에서 이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했는데 이 공식이 깨진 이유는?
7. 자, 이제 대선은 끝났다. 대통령 박근혜의 가장 큰 과제는 뭘까?
8. 새로 출범하는 정부가 선거 과정에서 내놓은 핵심 공약을 제대로 실행하려면 집권 1~2년 차에 승부수를 던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어떤 승부수 던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