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키의 엄마 찾아 삼만리…시스템 구축 시급

2017-05-11 20:12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오늘은 입양의 날인데요.

한국의 친부모를 찾으려고 입양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해외 입양인이 많은데요. 아쉽게도 가족을 찾을 확률은 매우 낮다고 합니다.

한국의 부모를 찾는 리키 씨의 안타까운 사연을 이범찬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리키/ 해외 입양자]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리키입니다. 저는 한국에서 태어나 4개월 만에 덴마크로 입양됐습니다. 제 한국 이름은 한순미입니다."

37살 리키씨는 17년째 한국의 생모를 찾고 있습니다.

입양기관에 따르면 리키 씨의 생모는 1960년생 한현숙 씨.

하지만 한국의 입양기관은 더 이상 친부모를 찾아줄 수 없다고 지난해 통보해 왔습니다. 

[리키 / 해외 입양자]
"저는 지금 너무 절망적입니다. 그래서 방송 출연을 결심했고… "

지난해 해외 입양인들의 가족 찾기 요청은 약 2천 건. 하지만 실제로 가족을 찾은 사례는 18%에 불과합니다.  

정부는 2012년 중앙입양원을 설립해 입양인의 인적사항을 통합 관리하고 있지만 데이터 구축은 5년이 지난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이현주/ 중앙입양원 입양기록관리팀]
"2016년 작년까지 13만건 정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졌고 비율로 따지면 절반 조금 넘는 54% 정도 돼요.”

친부모를 찾는데 유력한 단서가 되는 메모나 편지 같은 2차 정보의 체계적 관리도 시급합니다.

[김진수/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2차 정보가 실제 친부모를 찾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많이 하거든요 법적으로 강제화 해서 2차 정보도 다 모아 정리해 간직할 수 있게…"

해외 입양인에게 친부모를 찾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것과 같습니다. 이들의 뿌리찾기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해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범찬입니다.

이범찬 기자 tiger@donga.com
영상취재 : 추진엽 홍승택
영상편집 : 김종태
그래픽 : 노을빛 백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