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마을 급습한 ‘마스크 원정대’…“원주민 몫 줄었다” 불만

2020-03-05 19:34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일반 시민들은 조금이라도 싸게 마스크를 구해보려고 공적 마스크를 찾아다니죠.

다른 동네까지 원정을 가기도 하는데, 육지에서 섬마을까지 찾아간 사람들도 있습니다.

원주민과 원정대로 나뉜 치열한 마스크 구매 현장, 박건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 강화도에서도 바다를 한 번 더 건너야 닿을 수 있는 석모도.

우체국 앞의 긴 줄을 거쳐 마스크를 사기 직전 인적 사항부터 적어내야 합니다.

[현장음]
"주소, 성명, 전화번호 좀 기재해 주시고요. 오늘은 85매가 나갈 거예요."

마스크를 사러 원정 온 외지인까지 섞이며 원주민들 몫이 줄어들면서 생긴 조치입니다.

[배영원 / 인천 삼산면 주민]
"주민 등록을 대조해서 했으면 좋겠어. 진짜 여기 거주하는 사람은 지금 아무것도 못 해."

오늘도 원정 구매객들이 대기줄에 섞여 있었지만, 헛수고였습니다.

[마스크 원정 구매객]
"(여기 주민이세요?) 아니, 마스크가 없어서 여기까지 왔는데. 한적한 데라 살 수 있을까 하고 왔더니."

[김화선 / 인천 삼산우체국장]
"외지 분들도 10%~15% 정도 있어요. 판매가 안된다는 그자체에 불만을 갖고 저희들한테 막 야단치고 막 그러죠."

인천 영종도에서 배를 한 번 더 타고 들어가야 하는 인천 옹진군 북도면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조상천 / 인천 북도우체국장]
"자식 같은 분이 아침 7시 10분 배 타고 와서 육지에서 마스크를 살 수가 없어서 여기 우체국에 왔다고."

원주민들의 불만이 쌓이면 군청별로는 신분증 확인 후 원주민에게만 마스크를 팔라는 지침도 만들었지만 강제성은 없습니다.

[신영순 / 인천 북도면 주민]
"(외지인은) 밖에서 살 수 있는 기회가 있고. 그런데 여긴 섬이잖아요. 한정돼 있는데…"

섬마을 인심이 박해졌다고 탓하기엔 마스크 공급량이 너무 부족한 현실입니다.

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

change@donga.com
영상취재 : 박찬기 조세권
영상편집 : 이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