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단독]탈북민 “묻어버린다” 협박에도…정부 기관은 ‘사죄’ 종용
2022-02-15 19:50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탈북민의 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상담사, 남한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담당하기도 합니다.
그동안 상담사들이 신체적 위협이나 언어폭력에 시달린 것으로 확인됐는데, 통일부 산하 하나재단은 참으라며 방치했습니다.
박수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2010년 탈북민 전문 상담사가 된 A 씨. 그 역시 탈북민 출신으로 자신의 경험을 살려 남북 가교 역할이 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무슨 개수작 같은 소리 하고 있어." 폭언은 기본이고,
"탈북민이 전화하면 받아야 할 거 아니야. ○○이 탈북자가 왜 거기에 앉아있어." 욕설도 난무합니다.
[상담사 A]
"말 안 들으면 ○을 따버린다. 땅에 묻어버린다. 우리가 사람이 아닌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또 다른 상담사 B씨는 탈북민의 집을 혼자 방문했다가 성희롱을 당해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상담사 B]
"'성생활을 못해서 죽겠다' 이러는데 구역질이 나오는 거예요."
2010년 제도 도입 당시 1만 명이던 탈북민 수는 3만 5000명으로 늘었지만, 상담사는 100명에서 77명으로 줄었습니다.
상담사의 약 90%가 여성으로 성희롱 등에 대비해 탈북민 방문 상담은 2인 1조가 원칙이지만, 인원 부족에 혼자 가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성희롱 피해 등을 호소하는 상담사들에게 일방적으로 참으라고만 하는 정부 기관입니다.
[상담사 A]
"통일부에서 전화가 오는 거예요. 그 분(탈북민)한테 사죄하라고."
일부 탈북민들의 태도는 적반하장이기도 합니다.
"내가 (하나재단) 이사장한테 전화할 거야! 상대하지 말라고 할 거야."
채널A의 취재가 시작된 이후 통일부 산하 하나재단 측은 상담사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있다며 개선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
영상편집: 장세례
박수유 기자 apori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