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통일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남북 평화적 두 국가론'과 관련해 "정부의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정과제에 평화공존의 제도화가 나온다"면서 "평화공존은 적대적 두 국가로는 불가능하다. 평화적 두 국가가 될 때 평화공존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평화공존 제도화가 이재명 대통령의 철학"이라며 "이미 이재명 대통령의 신념과 철학이 반영된 국정과제에 '남북기본협정 체결'이 들어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남북관계는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잠정적 특수관계라는 속에서 두 국가론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 장관은 정부 외교·안보 분야에서 남북 자주성을 중시하는 자주파와 한미 동맹을 핵심으로 보는 외교관 중심 동맹파가 대립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자주가 없는 동맹은 줏대가 없는 것이고, 동맹이 없는 자주는 고립을 초래하는 것"이라면서 "이 정부의 외교안보팀 모두가 자주적 동맹파라고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