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박 대통령, 북핵대응 고심…靑 ‘비상체제’
2016-09-11 00:00 정치,정치,국제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에 준하는 대비태세를 당부하면서
청와대는 비상 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의 발언 수위 또한 점점 높아지고 있고 전력증강 등 취할 수 있는 모든 추가 조치가 검토되고 있습니다.
노은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때에도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던 박근혜 대통령. 하지만 올해 1월 4차 핵실험 이후 박 대통령의 태도는 강경해졌습니다.
체제 붕괴를 처음으로 언급했고,
[박근혜 대통령 (2월 16일 국회 연설)]
"북한 정권이 핵개발로는 생존할 수 없으며 오히려 체제 붕괴를 재촉할 뿐이라는 사실을…."
핵개발에만 몰두하는 행태를 폭정으로 간주했습니다.
[박 대통령 (3월 3일 국가조찬기도회)]
"북녘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을 억압하는 폭정을 중지하도록 전세계와 협력하여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잇따른 도발의 끝은 '자멸'이라 경고하고 5차 핵실험은 '김정은의 광기'라고 못박았습니다.
[박 대통령 (9일, 안보상황 점검회의)]
"김정은의 정신상태는 통제불능이라고 봐야할 것입니다."
점점 강해지고 있는 박 대통령의 대북 언급은 이제 행동으로 옮겨갈 태세입니다.
외교력을 총동원해 북한을 국제사회로부터 철저히 고립시키고 북핵에 맞설 수 있는 전력을 대거 증강한다는 겁니다.
[윤병세 / 외교부 장관]
"한미동맹의 억지력 강화를 통해서 북한이 고통을 느껴 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또 그제 미국 오바마 대통령과의 긴급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핵 공격 징후 포착 시 선제공격을 포함한 필요한 모든 군사조치를 취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노은지입니다.
영상취재 김기범 이철 이준희/
영상편집/오성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