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전화금융사기 진화…가짜 검찰청 홈페이지도 만들어
2011-12-19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회사원 이 모씨는 검사라는 사람들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 씨의 통장을 금융사기단이 범행에 이용했다며 통장에 있는 돈을 모두 특정 계좌로 이체하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모 씨/ 전화금융사기 피해자]
직책이나 과같은 것도 비교적 정확하게 이야기를 해서 심지어 팩스를 보내는데 그 법무부 장관 직인도 위조를 해서...
검찰청 홈페이지와 거의 똑같게 만든 뒤 개인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화사기로 인한 피해액은 2006년 106억 원에서 지난해 553억 원으로 뛰어, 5배로 증가했습니다.
올해는 8월까지 피해액이 이미 지난해 수준입니다.
개인정보를 묻는 전화는 무조건 끊는 것이 최선입니다.
하지만 인터넷으로 카드대출을 하려는 사람이 있을 때 금융기관이 본인인지를 전화로 직접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총장]
소비자에게 피해의 책임을 돌릴 게 아니라 금융사고의 입증책임을 일정부분 금융회사가 지도록 함으로써...
금융기관에 대한 해킹도 끊이지 않아 이를 통해 유출된 개인 정보가 전화사기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정 완 /경희대 법학대학원 교수]
보험상품을 많이 개발해 (보이스피싱의) 피해를 구제할 수 있도록 하고, 금융기관도 보안인력을 증원해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출이나 인출 신청을 한 후 현금을 손에 쥐기까지 일정 시간이 걸리도록 해 범인들이 곧바로 돈을 빼가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채널 A뉴스 손효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