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민간인 사찰, 가열되는 폭로전 ‘역공에 역공’
2012-04-04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이처럼 민간인 불법사찰을 둘러싼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된 가운데
민주당과 청와대 간의
폭로전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통합당은 국정원과 기무사의 불법사찰 개입 의혹을,
청와대는 노무현 정부의 사찰보고서 폐기 의혹을
각각 제기했습니다.
계속해서 정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주통합당은 원충연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조사관의 수첩 내용을 토대로 불법 사찰에 국정원과 기무사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새로 제기했습니다.
[인터뷰: 박영선/민주당 MB-새누리 심판위원장]
"수첩에 이런 기록이 있다. 2008년 9월 BH공직기관, 국정원, 기무사도 같이함. 국정원과 기무사가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또 도청과 미행 등의 단어가 등장한다며
민간인 사찰이 조직적으로 이뤄진 증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석현 의원은 공직윤리지원관실에 근무했던
이기형 경감과 진경락 기획총괄과장이 보관한
불법 사찰문건이 더 있다며 즉각적인 검찰 압수를 요구했습니다.
의원들의 전방위적인 폭로 속에 민주당은
총선이 끝나자마자 청문회를 열자며
새누리당과 청와대를 동시에 겨냥했습니다.
[인터뷰:박선숙/민주통합당 사무총장]
"그 청문회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위원장도 모두 증인으로 출석해야 한다."
새누리당은 거듭 특검 도입으로 맞섰습니다.
[인터뷰: 조윤선/새누리당 선대위 대변인]
"그렇게 자신있게 전 정권에서 시행했던 사찰이 합법적인 감찰이었다면 당장이라도 특검을 수용해서 평가받으면 될 것이다"
[인터뷰 박근혜/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
"야당의 목적은 이번에 이런 불법사찰이 있었는지 밝히는 것인가, 아니면 선거에 이용하는 것이 그들의 목적인가."
청와대는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던
참여정부 시절 조사심의관실의 사찰보고서가
조직적으로 폐기된 의혹이 있다며 민주당에 역공을 폈습니다.
국정감사 자료제출을 위해 문건들을 되돌려 받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기된 흔적을 발견했다는 겁니다.
여권 관계자는 "적법한 방법으로 사찰이 이뤄졌다면 결과 보고서를 폐기할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며 불법 사찰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습니다.
새로 불거진 차명계좌 추적 의혹도 돌려받은 문건을 검토하다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는 자료를 추가 검토해
민주당이 새로운 의혹을 제기할 때 마다
과거 정부의 비슷한 사례를 들어 맞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정영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