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무차별 홍보 전화-SNS ‘선거 공해’ 심각
2012-04-05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다시 총선관련 소식입니다.
선거운동이 중반전으로 치닫으면서
후보들의 선거전이 치열합니다.
그런데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오는
홍보 전화와 문자, SNS 게시글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보를 알리는 활동은 필요하겠지만
유권자들의 심기를 건드리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지 않을까요?
채현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따르르르릉."
모르는 번호에서 걸려온 전화.
"기호 *번 *** 후보 사무실입니다. 전 ** 시장님."
"그 쪽에 안 사는데요"
"네. 그러세요. 알겠습니다."
"뚜뚜..."
지역구가 다른 걸 알자 바로 끊어버립니다.
여론조사도 마찬가지.
ARS 자동전화에
특정 지역구 주민이 아니라고 답하자,
“귀하께선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바로 끊어집니다.
선거 때면 어김없이 걸려오는 전화들,
번호는 어떻게 구한 걸까?
[선거사무소 관계자]
"의원님 지인 분들이 여러 군데서 주신 거거든요.
(누가요?) 의원님 지인분들께서요."
동창회와 계모임,
승용차 내부에 남겨놓은 전화번호까지
갖가지 방법이 동원됩니다.
불법 정보수집도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 후보 전 선거 담당자]
"불법적으로 접근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단기간에 구하기가 힘드니까.
개인정보를 CD에 담아서 산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전화나 문자, SNS를 통한 홍보는 합법이지만
유권자들은 불쾌하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 김은정 / 서울 신정동]
"문자가 여러번 오는데 선거정보도 없이 스팸문자 같고,
내 번호는 어떻게 알았나해서 전화해서 물어봐야 하나.."
인터넷 게시판과 SNS에도 불만이 가득합니다.
짜증나는 전화와 문자 공세를 피하려면
상대방에게 직접 얘기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채정희 / 서울시선관위 공보계장]
"유권자가 후보자에게 내 개인정보를 어디서 수집했는지,
어디에 사용하는지 물어보거나 문자 보내는 것을
중지해 줄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유권자의 항의가 있을 경우
후보자는 유권자 정보의 출처를 알려주고
수신거부 요청을 받아들일 의무가 있습니다.
채널에이 뉴스 채현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