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여론조사 면접원 체험해보니…50번 걸어 1번 통화

2012-11-23 00:00   정치,정치,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어쨌든 여론조사로 단일 후보를
결정하자는 것은 두 후보 측이
공감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혹시 여론조사 전화
받아보신적 있으신가요.
저도 없는데요.
응답률이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저희 기자가
여론조사 면접원이 돼서 직접
여론조사의 한계를 체험 해봤습니다.
송찬욱 기잡니다.




[리포트]

일일 면접원 체험을 위해 한 여론조사 기관을 찾았습니다.
조사방법에 대해 교육을 받은 뒤 휴대전화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주로 젊은 층과 직장인이 받는데 번번히 거절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잠시만 시간을 내주실 수 있으신가요?"
"죄송합니다. 회의 중입니다."
"아니요. 죄송합니다."

평일 낮이라 그런지 받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연결이 되지 않아…."

[스탠드업: 송찬욱 기자]
"제가 30분 넘게 50건이 넘는 전화를 해봤는데 대부분이 거절이었고 성공한 사례는 한 건이었습니다."

유선전화로 대상을 바꿨더니 응답층은 중장년층이 주를 이룹니다.

"올해 만으로 80세에요."

100통 넘게 전화를 걸어봤지만,
결국 응답은 두 명밖에 받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배종찬 /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응답자들의 생활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조사 시간, 조사 요일에 따라 응답자의 직업, 연령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10% 안팎입니다.

유선전화의 응답률이 특히 낮기 때문에
조직력을 동원해 휴대전화 착신전환 등으로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의 응답률을 높이면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도 있는 것입니다.

조직 동원을 둘러싼 논란이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