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북한 포격 2주기…아직도 연평도는 잠 못 든다

2012-11-23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오늘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2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잠시 뒤 오전 10시에는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식이
열리는데요.

연평도에서는 해병대원들이 훈련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긴장이 흐르고 있는 연평도를
홍성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어둠이 깔린 연평도.
적 출현을 알리는 조명탄이 터지며 적막이 깨집니다.
이어서 전차와 해안포, 기관총 포대가 가상의 적을 격멸합니다.

이번엔 가상 적기 출현,
대공 화기 벌컨이 포탄 수천 발을 쏟아붓습니다.

서북도서 방어사령부 소속 해병 대원들이 야간 방어 훈련을 벌였습니다.
해병 대원들은 주야간 실사격 훈련을 포함해 북한의 다양한 도발 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평도 주변의 불안감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 김재식 전 연평 주민 대책위원장]
"폭격 이후 연평도는 움직임이 많아요. 포사격을 하게 되면 북한이 포문을 열어놓고, 대피하라고 방송을 하고 그러니까 늘 불안에 떨고 공포심을 많이 느끼게 돼요."

북한의 위협도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싱크 : 조선중앙TV]
"사회주의 조국을 철옹성같이 지켜 선 우리 군대가 있는 한 괴뢰들의 거짓으로 포장된 연평도승전 기념식 추태는 제2의 연평도 불바다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북한군도 최근 서해북방한계선 인근 도서에 군사력을 증강했습니다.

백령도에서 50여km 떨어진 고암포에 공기부양정 기지를 완공했습니다.

또 공격용 헬기 50여대도 태탄과 누천 공군기지에 분산 배치했습니다.

2년 전과 같은 포격 도발에 그치지 않고 해상 상륙 작전을 벌일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겁니다.

그러나 우리 군의 전력 증강계획은 제자리 걸음 입니다.

올해까지 배치할 예정이던
해안포 타격용 스파이크 미사일과 북한군 감시용 전술비행선, 무인항공기 도입 사업 모두 내년으로 미뤄졌습니다.

수출국과의 협상 난항, 사업자 선정과정에서의 혼선 등으로 인해 서북도서 안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홍성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