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헷갈리게 하는 청와대 해명…증거 제시 없이 “믿어라”

2019-12-04 19:36   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청와대가 자체 조사 결과까지 발표했지만, 수사개입에 대한 의혹, 말끔히 해소되진 않았습니다.

핵심 자료는 공개하지 않았고, 첩보 제보자와 작성자에 대한 설명도 의문점이 여전히 많습니다.

유승진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리포트]
공직자라는 최초 제보자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습니다.

캠핑장에서 우연히 만난 A 행정관에게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해
같은 제보를 했다는 겁니다.

하지만 제보자에 대한 조사권한이 없다며 제보자가 누구인지 김 전 시장과의 관련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 청와대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첩보 최초 작성자로 지목한 부처 파견 A 행정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습니다.

2년에 걸쳐 두 차례나 제보를 받고 스스로 정리한 첩보 내용인데, 청와대가 조사에 나선 지난달 27일 이후 자신이 만든 첩보임을 뒤늦게 알았다는 겁니다.

첩보문건이 민정수석실에 보고되고 경찰로 이첩되는 과정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었다고만 할 뿐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했습니다.

증거가 될 수 있는 최초 제보 내용이나 경찰로 이첩시켰다는 제보 문건에 대해 "개인 실명이 들어가 있고 수사에 제출할 증거"라며 공개를 거부했습니다.

하지만 숨진 특감반원 등이 울산에 간 이유를 설명하면서는 관련 문건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고민정 / 청와대 대변인]
"그 안에 보시면 사회교육문화 분야 해서 검경 간 고래고기 환부 갈등 내용이 분명히 적혀 있습니다."

청와대에 유리한 자료만 공개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