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15일 오전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사진 출처 : 뉴시스]
여 본부장은 현지시각 15일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자리에서 취재진을 만나 "미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나는 등 전방위로 국익 반영을 위해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말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후속 협상이 난항을 겪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전체를 보고 이해해달라"며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게 합리적인 협상 결과를 만드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미는 지난 7월 30일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이 총 3천 5백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86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하는 등의 내용에 합의했으나 합의 내용을 문서로 남기지는 못했습니다.
이후 한미 통상 당국이 지난 8일 워싱턴D.C.에서 실무협의를 진행했고 지난 12일 뉴욕에서 장관급 회담도 열었지만 대미 투자 방식 등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 본부장은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가 관세협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미국 측에서도 과했다는 분위기인 것 같다"며 "최대한 우리 기업의 이해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오늘(16일)부터 일본의 대미 수출 자동차 품목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춰지면서 미국 시장에서의 한일 자동차 경쟁력 차이가 나게 된 것에 대해서는 "일희일비하지 않고 우리도 최대한 빨리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국이 3천 5백억 달러 대미 투자 방식의 이견을 어떻게 좁힐 것이냐는 질문에 여 본부장은 "모든 의견을 다 분석하고 있고 어떤 게 우리에게 가장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가 제일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미국 측 요구대로 투자금을 전액 현금으로 조달한다면 발생할 수 있는 원/달러 환율 급등에 대한 안전장치로 거론되고 있는 '무제한 한미 통화 스와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부분을 하나하나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