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공짜폰 광고 금지했지만…현장서는 “그게 뭐?”

2012-01-02 00:00   경제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어제부터
정부가
실제로는 공짜가 아니면서
'공짜폰'이라는 문구로 소비자들을 속이는
광고를 못하도록 했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선 이러한 정책을
비웃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김민찬 기자가 휴대전화 매장을 다녀왔습니다.

===============================================

휴대전화 매장들이 밀집한 전자상가.

공짜폰이라는 요란한 문구가 버젓이 붙어있습니다.

기자: "공짜폰 있어요?"
직원: "네 있어요 손님"

또 다른 매장.

역시나 요금제 같은 이런저런 조건을 내걸며
공짜폰이라고 얘기합니다.

[인터뷰/ B 휴대전화 매장 직원(음성변조)]
"기기값은 나오는데 할인받으셔서 내시는 금액이 거의 없다는 거죠."

하지만 매달 2만원 이상의 기기값이 부과됩니다.

대신 요금을 그 만큼 깍아 주니,
공짜라는 얘깁니다.

공짜폰이라는 단어 사용이 금지된 걸 아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수롭지 않은 반응입니다.

기자: 이전이랑 달라지는 거는 뭔가요?
직원: 똑같아요. 문구가 없어진다는 얘기에요.

공짜라는 간판만 내걸지 못할 뿐
사실상 이전과 똑같이 판매한다는 겁니다.

복잡한 요금제나 보조금 지원 등이 얽혀있어,
살 때 당장 돈을 내지는 않지만 공짜는 절대 아니라는 말입니다.

공짜폰 광고를 못하게 했지만
현장에선 정부 정책을 비웃기나하듯
공짜폰 마케팅은 여전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민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