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어떻게 써야 하나” 전두환 경호동 딜레마

2012-02-08 00:00   정치,정치,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최근 서울시가 경찰에
전두환 전 대통령 사저 경호동 무상 임대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만약 경찰이 임대료를 내거나,
다른 건물을 구입하려면
약 8억~15억여원이 든다고 합니다.
이 돈은 다 세금일 수 밖에 없는데요,

전 전 대통령 사저 논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보도에 우정렬 기자입니다.

===============================================

전두환 전 대통령 사저를 경비하는
경찰 경호동 건물입니다.

최근 서울시가 무상임대를 불허하기로 함에 따라
서울시와 경찰은 건물 사용여부를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전화녹취 : 경찰 관계자]
“구입하면 구입하든지, (경찰로) 관리전환을 하지, 유상(임대)은 안할 겁니다. 제일 중요한 것이 신변안전이니까 그 경호동이 없으면 곤란하다.”

서울시는 임대기간이 4월말로 끝나는데다
원래 이 곳이 예술가를 위한 창작공간이었던 만큼
목적대로 사용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경찰이 임대료를 내거나
다른 건물을 구입하려면 주변
시세에 따라 8억~15억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이 돈은 고스란히 국민의 세금입니다.

[인터뷰 : 인근 부동산 관계자]
“여런데가 (평당) 1400~1500한다고 보면 되여. (그럼 14억, 15억? 사면?) 그렇죠 백평이면."

서울시는 전 전대통령이 사저 내 별채의 소유권을
이전하면서 지방세 3800만원을 3년 째
체납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무상임대 중단을 통보했습니다.

하지만 경찰이 경호를 포기하지 않을 경우
결과적으로 수억원의 국민의 세금을
들여 경호를 해주는 셈이 됩니다.


서울시의 주장이 일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세금을 써가며 경호를 해주기도
난처한 상황.

서울시와 경찰이 어떻게 슬기롭게
문제를 해결할 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우정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