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이슈진단]‘요양병원↑ 산부인과↓’ 병원도 양극화

2012-02-14 00:00   경제,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

(남)
우리사회를 규정하는 용어인 양극화.
그런데, 병원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데요.

(여)
노인을 치료하는 요양병원 숫자는 계속 증가하는데,
아이를 낳는 산부인과 분만실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남)
농어촌에선 분만실 있는 병원이 없어서
인근 도시로 원정출산까지 간다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사회부 우정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1]
우 기자, 저희 집 주변에도
예전에 없던 요양병원이 새로 생겼던데요.
노인요양병원 얼마나 늘어난 겁니까?

(네, 이미 공급과잉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크게 늘었습니다)

요양병원, 계속 늘어나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네, 요양병원의 증가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 세태가 반영됐단 분석입니다.
고령화로 노인 환자가 늘어난데다,
노인성 질환은 대개
대개 치료와 재활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요양병원에 대한 수요가 커진 겁니다.

노인요양병원을 이용하고 있는
환자의 말을 들어보시죠,


[ 강효원 / 뇌졸중 환자]
“집에 오면 일단 외롭죠. 여기오면 끼리끼리 동병상련
서로 위안이 되고 위로가 되고“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요양병원 병상 수는
모두 13만 5천 개로,
5년 전인 2007년보다
두배 가량 늘었습니다.

취재진이 찾은 서울의 한 노인요양병원도
전체 병상의 90%가 차 있었는데요.
중풍이나 치매 같은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가 많았습니다.

긴 병에 효자 없단 말처럼
아픈 부모를 돌보길 기피하는 세태와
자식에게 부담도 덜 주고
비슷한 처지의 친구들고 함께
치료도 받을 수 있다는 노인들의 선호도
요양병원 증가세에 한몫 하고 있습니다.


[질문2]
그런데 요양병원이 늘어나면서 부작용도 많아지고 있다면서요,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기자]

네, 요양병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부작용이 큰데요.
건강보험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픽]
요양병원이 건강보험에서 받아간 급여비는
2007년 6720억 원에서
지난해 1조 7300억 원으로
3년 만에 3배가 됐습니다.

과다한 환자 유치 경쟁과, 진료비 할인,
의료 서비스의 품질 하락도 우려됩니다.

요양병원의 난립을 막으려면
병원 개설 기준 강화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질문3]
요양병원은 늘었는데,
아이를 낳을 산부인과 분만실은 계속 문을 닫고 있다고요?


[기자]
네, 저출산 여파로
분만 환자가 줄어들면서
아예 아이를 받을 분만실을 닫아버리는 산부인과가 늘어난 겁니다.

최근 분만 업무를 중단했다는
서울시내 한 산부인과 원장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인터뷰 : 심상덕 / I 산부인과 원장]
“최소 10여건 정도 분만을 해야 하는데 그 한계선상을 맞추지 못하는 병원은 분만실을 폐쇄할 수 밖에 없는거죠.”


지난 5년간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는
전국적으로 10%나 줄었는데요.

인구도 줄고 있는데
아이 낳을 곳도 줄고 있는 겁니다.

농어촌 지역은 상황이 더 심해서
분만 가능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는 시군구가
전국적으로 58곳이나 됩니다.

이들 지역에 사는 임신부는
차량으로 한두 시간씩은 걸리는
인근 도시로 원정출산을 가는 형편입니다.

젊은 의사들 사이에서
산부인과는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 비해
돈이 안 된다는 인식이 퍼져
산부인과를 전공 희망자까지 줄면서
산부인과와 분만실 부족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전망입니다.

[질문 4]
저출산도 큰 문젠데 아이 낳을 곳도 없다니 심각한데요.
대책이 뭡니까?


[기자]
네,

저출산이 극복되지 않고
산부인과가 이른바 3D 과목이란
인식을 못 벗어나면
산부인과 의사와 산부인과 분만실 부족은
심해질 수 밖에 없는데요.


전문가들은
분만 인프라 공동화 지역이 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시범 운영중인
거점 산부인과를 늘려나가고
산부인과 분만 진료에 대한
의료 수가를 현실화하는 것을
대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의사들도
돈이 안된다며 기피하기에 앞서
새 생명의 탄생을 돕는
산부인과 의사로서의
자부심과 사명감을 되새겨야 할 때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앵커]
네, 우정렬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