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이슈진단]원전사고 은폐의혹…“간부들이 모의” 주장도

2012-03-15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국내 1호 원전인 ‘고리 1호기’에서
10분 넘게 전원이 끊기는 사고가 있었던 사실이
한달 넘게 지나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자칫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지만,
보고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김규태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질문1]
우선 고리 1호기가 어떻게 고장이 났는지가 궁금한데요.

[기자]
사고가 발생한 것은 2월 9일 오후 8시34분입니다.

원전에는 비상시 발전기 보호를 위해 전력을 차단하는 기기인
발전기용 보호계전기가 있는데 당시 하나는 점검중이었고 다른 하나는 실수로 차단돼 전력이 끊어졌습니다.

원전 주전력이 끊기면 비상디젤발전기가 돌아가면서
바로 전력을 공급해줍니다.

하지만, 이물질 때문에 비상디젤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원전 측은 급하게 수동으로 외부 전원을 연결했지만 무전력 상태인 블랙아웃이 12분 간 이어졌습니다.

만약 원자로가 운전 하는 중에 이런 사고가 발생했다면 방사능 유출
가능성도 있었습니다.


[질문2] 이후 원전 측이 어떻게 대응했느냐가 논란의 핵심인데요, 벌써부터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더욱 큰 문제는 사고 대처가
허점 투성이였다는 점입니다.

원전에 이상이 생기면
복구작업과 동시에 위험을 경고하는
경보를 하도록 돼 있지만

정작 사고 당시에는 이런 규정을
무시하고 숨기기에만 급급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고 발생 보고 시점도 논란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규정상 사고가 나면 발생 15분 내에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보고를 해야하지만
고리원전 측은 이를 따르지 않았습니다.

보고가 이뤄진 것은 사고가 발생한지 무려
한 달이 지난 뒤였습니다.

일각에서는 원전 간부들이 사고직후 모여
은폐 방안을 모색했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등
은폐의혹을 둘러싼 논란은 한층 확산되는 모습입니다.

[질문3]

상급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 측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상급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사고에 대해 알게된 것은
부산시의회 김수근의원의
제보를 통해서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김 의원은 지난달 20일 저녁
부산 시내 한 식당을 찾았다
옆자리에서 고리원전 협력사 관계자들이
전력사고 얘기를 하는 것을 우연히 듣게 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와 관련해 한수원측은
지난 9일에 김의원으로부터
관련 문의를 받았다고 밝혔지만
동아일보 취재 결과 이것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김 의원이 사실확인을 요청한 시점은 9일이 아닌
7일이었고요, 다음날인 8일, 원전 측과 직접 만나
사고를 제보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김종신 한수원 사장은 3일 뒤인 11일에야
관련 보고를 받았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결론적으로 실무진들이
원전 사고를 한달이나 쉬쉬하며 은폐한 데다,
사고가 확인된 뒤 적어도 사흘이 지난 시점에서야
상급자에게 늦장 보고를 한 셈입니다.

더욱 어처구니가 없는 것은,
사건을 은폐 한 현장 책임자인
문병위 고리1호기발전소장을
본사 위기관리실장으로 영전시켰다는 점입니다.

위기관리실장은 내부 위기상황에 대응하고
관련 내용을 정부에 보고하는 중요 자리인데요.

이번 은폐에 대해
문 소장은 '심리적 압박'때문이었다고 했습니다.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고리1호기를 안전하게 잘 돌려야 된다는
심리적 압박감이 너무 컸다”고 털어놨습니다.

[질문4]
자칫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사고를 은폐하다 이번에 들통이 난 게 아니겠습니까?
향후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처리가 될 것으로 보시나요?

[기자]

정부는 엄격한 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위기관리실태에 대해서도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고 보고 은폐 조사는 이번 주중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조사를 맡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다음주에는 한수원 본사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손재영 사무총장은 "본사 조사와 현장 실사를 마친 뒤에 엄중한 조치를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앞서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며 "조사가 마무리되면 관계자들을 엄중문책하겠다"고 밝혀습니다.

감사원도 이번 사건을 계기로 원전 등 핵심기반시설의 위기관리 실태에 대해 감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앞으로 정부는 원전 내부의 사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원자력안전위 내부에 통제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