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굿모닝!]“노무현 정부 때도 민간인 사찰”
2012-04-02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남) 이번에 분석한 문건들에서는
노무현 정부 때
정치인 뿐만 아니라
민간인들을 추적조사한 내용이
상세히 기록돼 있습니다.
(여)민간인 사찰은 상상할 수도 없다는
야당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내용입니다.
계속해서
배혜림 기잡니다.
[리포트]
참여정부 당시 조사심의관실이
작성한 문건에는
정치인뿐 아니라
교수와 승려, 노조 등 민간인을
광범위하게 추적한 정황이 담겨 있습니다.
2003년 2월 작성된 비위자료에는
당시 새천년민주당 김영환 의원이
세무조사 무마 청탁을 대가로
1억여 원을 받았다는 의혹과
사건 연루자들이 사석에서 이를 발설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허성식 민주당 인권특위 부위원장이
대우건설 사장 연임 로비 명목으로
3억 원을 받은 의혹과 관련해선,
공여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집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인적사항과
돈을 마련한 과정까지 파악돼 있습니다.
전국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김의엽 회장이
측근을 복직시키면서
급여를 부당지급한 의혹도
문서로 정리돼 있었습니다.
또 윤덕선 인천시 농구협회장이
학교에 금품을 제공해
급식을 독점한 의혹도 포함됐습니다.
노무현 정부가
2003년부터 5년간
경찰에 넘긴 이른바 'BH 이첩사건'은
224건이었습니다.
청와대 고위직을 사칭한
사기 사건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특히 2007년 7월
노 전 대통령의 친구가 피해를 당한
사기 사건도 이첩 사건에 포함됐습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의
부정입학과 성추행 비리,
대한 우슈협회장 비리,
일불사 주지의 납골당 불법 운영 등
공직기강과 무관한 사건도
기록돼 있습니다.
이는 문재인 전 비서실장이
트위터를 통해
"참여정부에선 민간인 사찰을
상상도 못했다"고 밝힌 것과는
배치되는 것입니다.
채널A 뉴스 배혜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