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그런가 했더니
이같은 고소득 자영업자 중 상당수가
수천 억 원대의 세금을 빼돌린 사실이
국세청에 포착됐습니다.
하임숙기잡니다.
[리포트]
유명 여성 전문병원을 운영하는 한 여의사는
현금 결제 환자들의 비보험 진료기록부를
병원 인근 오피스텔에 따로 보관했습니다.
이렇게 빼돌린 소득 45억 원 가운데
24억 원을 5만 원 권으로 바꿔
상자와 가방에 담아 집의 장롱, 베란다, 책상에 숨겼습니다.
국세청은 이 의사에게 소득세 등 19억 원을 추징했고,
조세범처벌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서울 강남의 유명 성형외과들도
비슷한 수법으로 탈루해
빼돌린 자금을 비밀 창고에 보관하기도 했습니다.
유흥주점에서는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위장가맹점 명의로 발행하는 수법을 썼습니다.
신분노출을 꺼려 현금결제를 선호하는 고객에게
수천 만 원짜리 시계와 가구를 판 수입업체,
웨딩플래너와 연계해 회당 20만~30만 원의 VIP 미용상품권을
현금으로 판 미용실,
1천만 원짜리 연간 뷰티서비스 회원권을 판 스파업체,
멤버십 룸살롱인 일명 '텐프로' 업소에 대한
조사도 시작됩니다.--
[인터뷰 : 김형환 국세청 조사2과장]
"고가상품을 팔아 높은 수익을 올리면서도 지능적 고질적인 방법으로 탈세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지난해 자영업자 600명을 조사해
3천600억 원을 추징한 국세청은
올해 사치성 업소 30곳, 사업자 10명에 대해
세무조사를 벌일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