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정부, ‘밀실처리 논란’ 한일 정보보호협정 전반적 조사 착수

2012-07-05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청와대가 밀실 처리 논란을 빚고 있는
한일 정보보호협정 추진 과정 전반에 대한
진상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책임 있는 관련자들에 대한
문책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뒤늦게나마 협정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무마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용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한일 정보보호협정 추진 절차상
문제점에 대해 전면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외교통상부와 국방부도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강도 높은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책임자 문책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상자로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김태효 대통령 대외전략기획관,
조세영 외교부 동북아국장 등이 거론됩니다.

이런 가운데 밀실 처리 논란이 불거진 이후 처음으로
조병제 외교통상부 대변인이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국회를 방문해 여야 부의장을 잇따라 만난
김성환 장관은 고개를 숙였습니다.

[인터뷰: 김성환 / 외교통상부 장관]
"저희 외교부에선 이번일에 대해서 입이 열개라도 드릴 말씀이 없고요

정부는 국회에서 보고한 뒤 신중히 처리하라는 요구를 무시한 불통의 자세로 밀어붙이다 29일 협정 체결 직전 연기라는 망신을 자초한 뒤에도
사흘이나 지나서야 진상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내곡동 사저 의혹이 불거졌을 때도 청와대는
처음에 문제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다
결국 포기하고 논현동 자택으로 돌아가기로 했습니다.

태국 주재 한국대사관 여직원의
탈북자에 대한 막말 파문이 불거졌을 때도
외교부는 부인부터 하고 난 뒤 결국 조사를 거쳐 문제를 시인했습니다.

한편 외교부가 지난 5월 말
이달 말까지 일본 측과 협정 서명을 마치기로
방침을 정했던 것으로 밝혀져
정부가 시한에 쫓겨 협정 체결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용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