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친인척·측근 비리 못 막은 청와대…민정수석실 책임론 제기

2012-07-11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대통령의 친형마저 구속되면서
이명박 정부의 레임덕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권마다 반복되는 친인척·측근 비리는
현 정부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친인척 감시 기능을 맡은 민정수석실은
무엇을 하고 있었던 걸까요?
이용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터뷰: 이명박 대통령 (지난 2월)]
“내 주변 비리 때마다 가슴이 꽉 막힌다.
화가 날 때도 있고 가슴을 칠 때도 있다.
정말 밤잠을 설치고 생각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올 2월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사실상 사과했지만,
친인척·측근 비리는
진행될대로 진행된 상태였습니다.

친인척·측근 비리는 최측근에서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에 이르기까지 무려 19명이
사법처리 될 정도로 광범위했습니다.

친인척 감시 기능을 맡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책임론이 제기됩니다.

이명박 정부의 초대 민정수석은 대학교 후배인 이종찬 씨로 2007년 대선 때 선대위 상임특보를 지냈고, 두번째 정동기 수석은 인수위 간사를 지냈습니다.

세번째 권재진 수석은 김윤옥 여사의 초등학교 후배입니다.

이 대통령과 개인적 인연으로 얽히고 설킨 인사들이
대통령의 피붙이와 측근들을 엄하게 단속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신율 명지대 교수]
“민정수석이 친척·측근을 다 잘 아는 경우가 되면
제대로 잡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통령 주변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선
민정수석과 민정비서관을 인사 청문회를 거쳐
임명토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용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