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보세]1월 3일 오늘의 1면 기사

2013-01-03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남)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주요 일간지를 한눈에 보실 수 있게
정리해 드리는 신문으로 보는 세상, 1월 3일 순서 시작합니다.

(여) 오늘 1면 기사 첫 소식은 조금 무거운 소식입니다.

동아일보 1면에 실린 사진을 먼저 보시겠습니다.



◇동아 1면

(남) “의로운 소방관이여, 편히 잠드소서”라는 제목의 사진입니다.

지난해 12월 화재를 진압하다 잇따라 순직한
경기 일산소방서 김형성 소방위와 김상민 상방의
합동영결식 장면입니다.

영결식에서 한 동료가 애도사에서
“불구덩이 속에서 후배의 안전을 지키고자 한 당신,
대한민국 소방관으로 자랑스럽다”며 말하자
눈물을 흘리는 동료들과 유가족의 사진입니다.

다시 한 번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여) 열악한 근무 환경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애쓰는 소방관들에 관련된 기사,
조선일보 1면에도 실렸습니다. 함께 보시죠.

◆조선

*(사진) 그런데, 이번 사진은
소방관들이 밝은 미소와 함께 양 손을 머리 위로 올려서
하트를 그리고 있죠?

*(2)
<목숨 건 손길도 미안한데...
월급 떼내 화재 피해자 돕는 119>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목숨을 걸고 인명을 구하는
소방공무원들이 알고 보니 박봉을 쪼개서
화재 피해자들을 돕는 기부활동까지 하고 있었습니다.

(남) *(3)
정말 감동적이지 않습니까?

주인공들은 부산 소방공무원 2340명인데요,

지난해 3월부터 화재 피해를 본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한
'119안전기금'을 모으기 시작해 1억 6천만원을 기부했다는군요.

(여)*(4)
관련 사연이 기사에 소개됐습니다.

지난해 6월, 부산 연산동 최 모씨 집에 불이 나
가재도구와 함께 집이 모조리 불타버렸는데요,

피해자 최씨는 월 70만원을 벌어
다섯 식구가 생활하는 처지였다죠.

소방관들은 불을 끈 뒤에도 며칠 동안 찾아와
불탄 집 안을 모두 치워줬고,

복구하는데 쓰라며 100만원을 전달하고,
또 소화기까지 설치해 줬다고 합니다.

최근 5년간 구조 활동 중 사망한 소방관은 36명이고,
다친 소방관은 1626명입니다.


(남) 목숨을 걸고 국민을 구하고도 그걸로 모자라
적은 월급을 쪼개서 화재 피해자들을 돕는 소방관들.
이번에는 그들과는 조금 비교되는 분들에 관한 기사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동아일보 1면 기사입니다.

◆동아
*(1)
제목이 의원연금 폐지한다더니...결국 ‘선거용’,

어제 신문보세에서 국회의원들이
고아원 아동 한 끼 식사비 예산은
달랑 100원 올려 1,500원으로 책정하고는
평생 받는 월 120만원의 국회의원 연금 예산은 그대로
유지했다고 소개해 드렸었죠.

*(2)
의원연금은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헌정회'가
만 65세 이상 전직 의원들에게 매달 120만 원씩 지급하는
‘연로 회원 지원금’입니다.

(여) *(3)
한때 의원연금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19대 국회 개원을 전후해 여야는 지난해 9월
연금제도 개선을 위한 개정안을 냈고,

최근 대선 후보들도 의원연금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4)
하지만 대선이 끝난 뒤 연금 예산은
지난해와 똑같이 반영됐습니다.

(남) 이에 대해 여야는 뭐라고 답했을까요?

*(5)
여야는 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예산 삭감은 힘들다고 강력히 항변했다고 합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국회의원에게 지급하는
의원 연금 관련 기사, 잠시 후 종합면 기사에서
실랄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중앙일보 1면에도 새해 예산안 처리를 주도했던
국회의원들에 대한 기사가 머릿기사로 실렸습니다.

◆중앙

*(1)
제목 한 번 보시죠.
국회 앞 호텔방에 모여서 이른바 '야합예산'을
주도했던 국회의원 아홉 분,

헌정사상 처음으로 해를 넘겨 예산안이 처리되자 마자
중남미와 아프리카로 단체외유를 떠났다고 합니다.

*(2)
외유에 든 비용 1억 5천만 원은
국회 예산으로 충당했다고 하는데요.

외유 떠난 예결위 계수소위 의원들 명단,
바로 이분들입니다. 모두들 하나 같이
예산 처리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했던 인물들입니다.

(여)*(3)

이들의 외유 목적은 <예산심사 시스템 연구>
였다는데요,

이를 두고 새누리당 관계자가 이렇게 말했다고
중앙일보는 소개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중남미나 아프리카에서
예산심사 시스템을 연구한다는 걸
누가 이해할 수 있겠느냐 면서,

해를 넘긴 늑장처리에 밀실·쪽지예산 파동으로
나라가 시끄러운데,

예산심사를 책임졌던 주역들이
출장 목적도 불분명한 해외시찰을 떠난 걸
국민이 납득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고 하네요,


(남) 국회의원들의 예산 심사와 처리 과정을 두고
곳곳에서 비판이 쏟아지자,
심사과정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1면 보시죠.

◆경향
*(1)
심사과정 공개해야 ‘쪽지예산’ 사라진다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경향신문은 국회의 정부 예산심사 과정을
지역 안배와 밀실 행태, 이 두 가지로 요약했습니다.

*(2)
이번 새해 예산안 심사는 지난해 말
여야당 새누리당 김학용, 민주통합당 최재성 간사 간 협의로
최종 정리됐는데요,

두 간사가 언론 취재에 응하지 않으면서,
예산 심의 과정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습니다.

*(3)
소위 구성 단계부터 지역구 예산을 챙기는 것이
목표라는 뒷말이 나왔고,

민주당의 경우 간사를 제외한
나머지 소위 위원들이 지역별로 나눠져
지역별 상한 액수를 정한 뒤
사업을 배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는군요.

이른바 지역구 민원 예산인 쪽지 예산이 가능한 이유입니다.

(여) *(4)
일본은 2009년 총선 승리로 집권한 민주당이
예산 공개심의 제도를 도입했는데요.

도쿄 시내 체육관에서 민간 전문가들이
공무원에게 사업 타당성을 추궁하는 장면이
TV·인터넷으로 생중계 돼 국민들을 열광시켰다고합니다.

*(5)
또 미국의 경우, 의회 예산 심의 기간은
2~10월로 한국보다 4배 길 뿐만 아니라,
심의는 3개 이상의 복수의 기구에서 이뤄진다고 합니다.

여야의 간사 두 명이 밀실에서 조용히 처리하는
우리나라 예산 심사와는 달라도 많이 다르죠.


(남) 예산을 두고 여기저기서 말이 많습니다.
한겨레 신문 1면을 보시죠.

◆한겨레

*(1)
복지 예산을 늘리느라 국방예산이 줄어든데 대해서
청와대와 국방부가 정면 반발하고 나섰다는 기사입니다.

*(2)
한겨레신문은 이러한 청와대와 국방부의 반발은
국방예산이 삭감된 데 대한
보수진영의 거부감을 대변한 것이라고 소개했는데요.

박근혜 당선인 측은
“안보를 경시한 게 아니며, 정부가 국회를 설득하지 못한 것을
오히려 반성해야 한다”고 반박했다는 내용도 소개했습니다.

(여)
국방예산이 줄어들자 새해 예산안과 함께 통과된
택시법에도 불똥이 튀었습니다.
동아일보 1면 보시죠.


◆동아

청와대 고위인사가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해 정부가 1조 9천억 원을 지원하는
택시법에 대해 부정적 의견 많다”면서,

법안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내용입니다.

군 관계자도 택시업계 지원금의 절반인 1조원 만 있으면
북한의 포격을 방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는
내용도 소개했습니다.


(남) 마지막으로 조선일보 1면 기사 하나 더 보시죠.

◆조선

주택 거래시 부과되는 취득세율이
작년말 1~3%에서 새해부터 2~4%로 오른 것과 관련된 소식인데요,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가
취득세 감면 혜택 연장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약속이라며
감면 혜택 연장을 추진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민주당 박기춘 원내대표 측도
대책을 논의해 보겠다고 해서,

이르면 1월 임시국회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지금까지 1면 기사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