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靑, ‘부동산 내로남불’에 또 발목…김외숙 책임론 확산
2021-06-28 12:45 정치

■ 방송 : 채널A 뉴스A 라이브 (12:00~13:20)
■ 방송일 : 2021년 6월 28일 (월요일)
■ 진행 : 황순욱 앵커
■ 출연 : 김우석 국민대 객원교수, 양문석 공공미디어연구소 이사장, 장윤미 변호사

[황순욱 앵커]
청와대가 또다시 부동산 악재에 직면했습니다. 이번에는 대통령 반부패비서관으로 근무했던 김기표 전 비서관이 부동산 투기 의혹에 휩싸인 건데요. 반부패비서관에 임명된 지 약 석 달 정도 된 김 전 비서관의 투기 의혹은요. 전국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5일에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 등록 내역을 통해서 제기가 됐습니다. 김 비서관은 부동산 자산으로 경기도 분당 아파트, 그리고 서울 마곡동의 상가 2채. 모두 합쳐서 총 91억 2623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그런데 91억이 넘는 재산 가운데요.

이 가운데 금융 채무, 그러니까 대출을 받은 액수가 무려 54억 6441만 원이었습니다. 이를 두고 이른바 영끌, 빚투 의혹이 불거지게 된 셈입니다. 김기표 전 비서관은요. 경기도 광주의 땅을 소유하고 있기도 한데 이 땅을 두고 개발을 노리고 맹지를 사들인 거 아니냐는 이런 의혹이 불거졌는데 글쎄요. 개발을 노리고 맹지를 사들였다. 어디서 많이 듣던 얘기입니다. LH 공사 사태 때 나왔던 전형적인 방법이기도 했었잖아요.

[장윤미 변호사]
네.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을 보면 이게 투자냐, 투기냐 한 끗 차이일 수 있겠지만 부동산 시세차익을 노리는 행위를 한 건 분명해 보입니다. 일단 도로가 연결되지 않은 맹지는 상당히 가치가 떨어지는 땅이죠. 이 땅을 샀는데 2017년입니다. 그런데 2018년에 인근 지역의 송정 지구에 개발 인가가 납니다. 그렇다면 그 직전인 상황에 땅을 매입할 당시에는 뭔가 개발 특수를 노리고 이 땅을 샀던 걸로 볼 수가 충분히 있고 그 이후 김기표 전 비서관이 한 행동. 이 부분을 대지로 지목변경을 합니다. 지목 변경을 하면서 컨테이너를 설치하는데. 컨테이너를 설치하면서 고위공직자 재산 신고를 할 때는 이 땅은 누락한 채 컨테이너를 상가라고 신고합니다. 개인적으로 상당히 악의적이라고 보고 또 고위공직자 신고를 할 당시 일부 한 400평정도 되는 대지는 누락하기도 했고요.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정우식 인턴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