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나눔의 집’ 후원금 88억…할머니들 위해선 2억만 썼다
2020-08-11 20:40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지난 5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지원하는 '나눔의 집'이 후원금을 불법 사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오늘 민관 합동 점검 결과가 나왔는데,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받은 후원금 가운데 2% 정도만 할머니들에게 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나머지 후원금은 어디로 간 걸까요?
박건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복지시설인 나눔의집에서 지난 5년간 받은 후원금은 88억 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정작 할머니들에게 돌아간 후원금은 2.3%, 2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 돈도 할머니들을 위해 직접 쓴 게 아니라 대부분 시설 운영 경비로 쓰였습니다.
나머지 돈은 나눔의 집 운영을 관장하는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으로 흘러 들어갔습니다.
[송기춘 /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
"할머니들의 생활, 복지, 증언활동을 위한다며 국민들에게 거둬들인 후원금은 양로시설 나눔의 집이 아니라 법인 통장에 입금됐습니다."
법인은 토지매입과 생활관 증축, 유물전시관 설립 등에 후원금 26억 원을 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나머지 후원금은 시설 건립을 위해 비축해둔 것으로 추정됩니다.
후원금 모금 과정의 문제도 드러났습니다.
현행법에선 천만 원 이상 기부금품을 모집할 땐 지방자치단체나 행정안전부에 등록해야하지만 나눔의 집은 등록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나눔의 집 간병인인 법인 직원이 할머니들에게 정서적 학대를 가한 정황도 발견됐습니다.
[송기춘 /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
"할머니 갖다 버린다, 가만히 좀 있어 …정서적 학대는 특히 의사소통과 거동이 불가능한 중증환자 할머니에게 집중됐습니다."
나눔의 집이 할머니들의 활동 역사가 담긴 사진과 국민들이 보낸 응원편지 등을 포댓자루에 넣어 베란다에 방치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이 중에는 국가지정기록물도 있었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나눔의집 운영법인을 경찰에 수사 의뢰할 방침입니다.
나눔의집은 조사 결과에 대해 조만간 입장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
change@donga.com
영상편집 : 이승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