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여랑야랑]윤희숙의 ‘실명’ 경고 / 군대 ‘노 마스크’ 실험?
2021-08-27 19:35 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Q. 여랑야랑,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 윤희숙 의원 후폭풍이 거센데요. 무슨 경고인가요?
실명 경고입니다. 윤희숙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자신을 비판했던 범여권인사들의 '실명'을 부르며 조목조목 따졌습니다.
Q. 세어보니 열 명이 넘더라고요.
맞습니다. 현직 의원을 비롯해 모두 15명이나 거론 했습니다. 일부 들어보시죠.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이틀 간의 마타도어는 제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여당의 대선 후보인 김두관 후보는"
[김두관 /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
"전형적인 투기수법입니다. 윤 의원이 KDI 근무하면서 얻은 정보를 가지고."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김성환 민주당 원내수석은"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윤 의원이야말로 부동산 투기 귀재인 것 같습니다."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전재수"
[전재수/더불어민주당 의원]
"나를 잡지 마라. 이게 나의 정치다,’ 이러면서 눈물을 자아내는 한편의 신파극이죠."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양이원영"
[양이원영 / 무소속 의원] (어제)
"'사퇴쇼' 아닌가요? 깜빡 속아 넘어갈 뻔 했습니다."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의원직을 걸겠다는 이도 있습니다."
[한준호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윤희숙 당신 위선자. 당신 위선자라는 데 제 직책 의원직 걸게."
Q. 실명이 거론된 인사들, 가만히 있지는 않았겠지요?
김두관 의원은 "강력 수사"를 주장했고요. 한준호 의원은 "탈당을 하고 증명하라"고 했습니다. 또 "해명을 공수처로 떠넘겼다"거나 양심을 돌아보라는 등의 반박이 이어졌습니다.
윤 의원의 실명 경고로, 이제 윤 의원과 민주당 의원들, 물러설 수 없는 전쟁이 시작된 분위기입니다.
Q.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 '노 마스크 실험?' 정부가 장병들 대상으로 마스크를 벗어보자, 이런 걸 추진해서 논란이에요?
오늘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이 내용이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라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커졌습니다.
[하태경 / 국민의힘 의원]
군 통수권자 대통령이 K 방역 홍보 위해 병사 건강과 안전 걸고 사실상 생체 실험 지시 매우 충격적인 일 아닐 수 없어.
Q. 하 의원은 말은 아주 센데, 내용이 뭔가요?
지난 4일 전군 지휘관 회의가 열렸고, 여기서 대통령이 이런 지시를 했다며 문건을 공개했는데요.
보시면, 대통령이 군 장병들이 집단 면역 효과, 변이 대응성, 치명률 관찰과 테스트를 할 시범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는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또 그날 청와대 브리핑도 언급했습니다.
[박경미 / 청와대 대변인] (지난 4일)
문 대통령은 군이 최초의 집단 면역 달성 사례가 되므로 (일반 국민들의 집단면역에)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Q. 대통령이 군 장병부터 테스트 하라고 한 게 생체실험이다 이렇게 공격을 하는 거군요. 대통령이 정확히 뭐라고 지시한 겁니까.
국방부는 당시 대통령 발언의 취지는 "장병 94%가 백신 접종을 완료했으니 단계적 정상화 방안을 강구하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는데요.
정확한 건 청와대에 물어보라고 했습니다.
Q. 청와대는 뭐랍니까.
비슷한 취지였다며, 역시 자세한 건 국방부에 문의하라고 했습니다.
Q. 떠넘기는 듯한 느낌도 드네요. 그럼 군 장병들의 노마스크가 추진 되는 건 맞습니까.
방역 당국의 입장 들어보시죠.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각종 조치들을 완화하는 방안들을 현재 군내에서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논의 초기이다 보니까 확정된 내용도 없습니다."
국가 안보의 최전선에 선 장병들의 건강이 달린 문제니까요. 무엇보다 투명하게 진행되길 바랍니다.
Q. 방역을 풀지 말지는 철저하게 어떤 정치적 고려 없이 장병 건강만 생각해서 결정해야 겠습니다. 여랑야랑이었습니다.
구성: 김민지 기자·김지숙 작가
연출·편집: 정새나PD·배영진PD
그래픽: 성정우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