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의 전제조건은 아무 것도 없다"며 "대화를 출발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니 의료계의 참여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한동훈 대표는 오늘(10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안을 냈고 제 생각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각자 생각을 고집한다면 만남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 대표는 '2025학년도 의대증원 백지화는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바꾼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 상황을 중재하려는 입장에 가까운데 제 입장이 뭐가 중요하냐"고 되물었습니다.
한 대표는 "지금 중요한 건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이고 굉장히 어려워진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뉴스1
그러면서 "(여야의정 협의체는) 야당까지 들어오기 때문에 정부 마음대로 흘러갈 수 있는 구도도 아니니 의료계가 들어와서 충분히 할 수 있는 구조"라며 "의료계가 한번 대화를 해주면 좋겠다는 간곡한 부탁을 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한 대표는 '2025년도 의대증원 백지화에 따른 수험생 피해가 예상된다'는 질문에도 "여기서 해결 못 하면 어디서 해결할 수 있냐"고 반문하며 "전제조건과 의제를 걸어서 의료계의 참여를 막으면 안 된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어 의료계가 대화 조건 중 하나로 내걸고 있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박민수 차관의 경질 문제에 대해서도 "모여서 무슨 얘기도 못 하겠냐"고 말했고 "국민들이 불안해하는데 여야의정 협의체에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한 대표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의 사퇴를 촉구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의료단체에 광범위하게 참여 요청을 드렸다"며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한동훈 대표는 오늘(10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안을 냈고 제 생각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각자 생각을 고집한다면 만남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 대표는 '2025학년도 의대증원 백지화는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바꾼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 상황을 중재하려는 입장에 가까운데 제 입장이 뭐가 중요하냐"고 되물었습니다.
한 대표는 "지금 중요한 건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이고 굉장히 어려워진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야의정 협의체는) 야당까지 들어오기 때문에 정부 마음대로 흘러갈 수 있는 구도도 아니니 의료계가 들어와서 충분히 할 수 있는 구조"라며 "의료계가 한번 대화를 해주면 좋겠다는 간곡한 부탁을 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한 대표는 '2025년도 의대증원 백지화에 따른 수험생 피해가 예상된다'는 질문에도 "여기서 해결 못 하면 어디서 해결할 수 있냐"고 반문하며 "전제조건과 의제를 걸어서 의료계의 참여를 막으면 안 된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어 의료계가 대화 조건 중 하나로 내걸고 있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박민수 차관의 경질 문제에 대해서도 "모여서 무슨 얘기도 못 하겠냐"고 말했고 "국민들이 불안해하는데 여야의정 협의체에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한 대표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의 사퇴를 촉구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의료단체에 광범위하게 참여 요청을 드렸다"며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