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일본 호감도 38%·일본인 호감도 56%…역대 최고 수준
2025-08-15 11:40 사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17일(현지 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광복 80주년을 맞아 실시된 우리나라 국민의 일본·일본인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호감도가 1989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갤럽이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일본에 대해 호감이 가는가, 가지 않는가'라고 묻자 응답자의 38%는 '호감이 간다', 45%는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의견을 유보한 비율은 17%입니다.
'일본인에 대한 호감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6%가 '호감이 간다', 26%는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1989년 이후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부침을 거듭해 왔습니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일명 '고노 담화' 발표 후인 1993년과 1994년,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이듬해인 2003년 30%대 중반까지 올랐다가 2005년 일본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후 20%로 급락했습니다.
일본 호감도 최고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41%, 최저치는 아베 내각 출범 후 한국 내 일본 불매 운동이 확산하던 2019년 12%입니다.
일본이란 나라에 대한 호감도가 낮을 때도 일본인에 대한 호감도는 40% 이상을 유지해 차이를 보였습니다.
2015년 2월(24~26일) 조사를 살펴보면 일본인에 대한 호감도는 40%, 비호감은 47%였습니다.
2019년 7월(9~11일) 조사에서는 호감도가 41%, 비호감도가 43%였습니다.
가장 최근인 2022년도 8월(9~11일) 조사에서는 호감도가 46%, 비호감도가 38%로 역전됐습니다.
일본인에 대한 호감도는 저연령일수록 우호적이며, 일본 비호감자 중에서도 37%가 일본인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가로 생각나는 인물' 상위 3인에는 안중근 의사(47%), 유관순 열사(45%), 김구 선생(43%)이 꼽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응답률은 13.4%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입니다.
윤승옥 기자touch@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