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흰개미 퇴치작전…우리 문화재, 삽살개가 지킨다

2012-11-13 00:00   사회,사회,문화,문화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한반도의 기후가 온난화 되면서
흰개미들이 수백년 된 목조 문화재를
갉아먹는 일이 많습니다.

이 흰개미 퇴치작전에 토종 천연기념물이
투입됐습니다.
채널A제휴사 매일신문 황수영 기잡니다.


[리포트]

삽살개가 나무 밑동에 코를 대고 킁킁거립니다.

동그라미 표시가 있는 곳에서 흰개미 냄새를 맡았다는 뜻입니다.

[스텐딩-황수영 매일신문기자]
올해 두 살인 이 삽살개 이름은 ‘단디’인데요.
훈련 받은지 4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
흰개미를 정확하게 찾아냅니다.

지난 7월부터 삽살개 두 마리가
흰개미 탐지견으로 훈련받고 있습니다.

겨울철 기온이 점점 따뜻해지면서
급속도로 늘어난 흰개미가
목조 문화재를 갉아먹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 2천 3백여 건 중 목조 문화재는 3백 20여 개.

흰개미로 인한 목조 문화재 피해는
해마다 10~20건씩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권기진 한국삽살개재단 부소장]
“삽살개는 침착하고 차분해서 흰개미를 찾는 집중력이
좋고..."

문화재청은 삽살개가 흰개미 서식지를 찾으면
극초음파 탐지기로 재확인한 뒤 살충재를 뿌리기로
했습니다.

삽살개 6마리가 흰개미 탐지견으로
훈련받아서 내년 4월부터 실전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매일신문 황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