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세종시 특공 평균 5억 상승…文 정부 상승폭 가장 커
2021-07-05 19:36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최근 관세평가분류원의 유령 청사 사건으로 세종시 공무원들의 아파트 특별공급 문제가 화제가 됐죠.
시민단체가 특공 아파트 2만 6천 채를 전수 조사했는데, 시세가 평균 5억 원씩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고, 문재인 정부 때 오름폭이 가장 컸습니다.
이른바 특공테크가 수치로 확인된 것입니다.
남영주 기자가 설명합니다.
[리포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세종시 공무원 특공 아파트의 시세 변화를 전수조사했습니다.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2만6천 채의 평균 분양가는 3억 1천만 원.
현재 시세는 평균 8억 2천만 원으로 5억 원 넘게 급등했습니다.
이 가운데 입주가 완료된 1만4천 가구를 분석했더니, 지난 1년 사이에 3억 6천만 원이나 뛰었습니다.
지난해 7월 여당 원내대표의 발언이 영향을 미친 걸로 분석됩니다.
[김태년 /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해 7월)]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그렇게 했을 때 서울·수도권 과밀과 부동산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역대 정권별로 비교해보면 문재인 정부 들어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
[윤순철 / 경실련 사무총장]
"땀 흘려 일해도 내 집 장만하기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특별하게 공급받았던 공무원들은 막대한 부를 취하게 된 결과가 있었고."
국토교통부 노형욱 장관과 윤성원 차관은 서울 강남에 집을 갖고도 특공을 분양받았다 매도해 수억 원의 시세 차익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경실련은 세종시뿐 아니라 전국의 모든 특공 물량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장음]
"공무원 특공 특혜 전면 폐지하고 투기소득 전면 몰수하라.
(몰수하라, 몰수하라, 몰수하라!)"
또 설익은 국회 이전 발표가 아파트값 상승만 부추겼다며,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
dragonball@donga.com
영상취재 : 조세권
영상편집 : 김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