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현장 카메라]“비 오면 태양광 시설부터 봐” 불안한 주민들
2021-07-14 19:26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정부는 탈원전 정책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을 특히 많이 늘렸지요.
장마가 다음 주까지는 이어진다는 소식에 태양광 시설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어떤 위험이 있는지, 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정다은 기자]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지난해 폭우로 태양광 시설물 비탈면이 무너져 내린 상태입니다.
약 1년이 지난 오늘에서야 겨우 방수포를 깔기 시작했는데요,
오늘처럼 비가 오면 주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으로 갑니다.”
지난해 겪은 수해는 흉터처럼 남아 있습니다.
[박경춘 / 전북 장수군 장척마을 이장]
"(산사태로) 인삼밭에 물이 꽉 찼었지. 4년 농사가 그냥 한순간에 없어져 버렸지.”
인삼밭을 망친 원인으로 지목된 건 태양광 시설.
올해에도 비가 올 때마다 태양광 시설물 쪽에서 토사가 계속 내려와 농작물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호소합니다.
[박경춘 / 전북 장수군 장척마을 이장]
"태양광 때문에 태양광에서 토사가 내려와서 이 수로를 막히게 한 거예요. 토사가 여기만 막은 게 아니고 논까지 다 들어간다고.”
복구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장수군청 관계자]
"복구는 개인 시설이기 때문에 본인이 하셔야 하는 건이에요. 본인이 행정 복구 명령을 몇 차례 내렸는데 이행을 안 하고 계시는 거예요.”
주민들은 답답합니다.
[박세권 / 전북 장수군 박곡마을 이장]
"산 건드리면 토사 흘러내려 온다는 걸 뻔히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인데 허가를 내준 그 자체도…."
2년 가까이 방치된 곳도 있습니다.
산 중턱에 조성된 태양광 시설 콘크리트 옹벽이 무너져 내렸는데, 철제 구조물과 나무판이 흘러내려 온 토사를 겨우 지탱하고 있습니다.
[정다은 기자]
"무너져 내린 태양광 시설물 바로 밑에 이렇게 10가구 정도의 주민들이 살고 있는데요.
이 위쪽 시설물들이 아직 제대로 복구되지 못한 상태에서, 장마철을 보내고 있습니다.”
태양광 시설물에서 민가까진 불과 100m 정도.
[황승식 /경북 청도군 월봉1리 주민]
"토사가 무너지니까 우르르 쾅쾅쾅 하면서 막 무너졌어요. 항상 비 오면 눈이 저기부터 가는데 혹시나 저게 또 무너질까 싶어."
태양광 시설 업자는 자금이 부족해 복구가 늦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태양광 사업자]
"자금 사정 때문에 (복구공사가) 늦어지긴 했는데 계속 모이는 대로 작업은 계속 하고 있었어요."
이렇게 태양광 관련 산사태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시설 비용을 아끼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목합니다.
[이수곤 /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보통 태양광 시설물 옹벽 등) 임업하는 사람들이 임업 토목이라고 축을 쌓는 거예요. 대충이에요. 그건 공학적으로 안전성이 입증 된 게 아니에요. 그렇지만 상당히 쌉니다."
그러는 사이 주민들은 위험과 피해에 노출돼 있습니다.
[황승식 /경북 청도군 월봉1리 주민]
"태양광도 태양광이지만 실질적으로 사람이 살아야 될 거 아닙니까. 사람이 먼저 우선 아닙니까."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dec@donga.com
PD : 김종윤 석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