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지난달 1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회 을지국무회의 및 제37회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김현지 대통령 총무비서관의 국정감사 출석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대통령 총무비서관은 통상 국정감사에 출석하는 것이 관례지만, 여당이 김 비서관을 국감 증인에서 제외하는 안을 추진해 논란이 됐죠.
김 비서관은 이른바 '성남 라인'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일 때부터 호흡을 맞춰 온 최측근 참모입니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총무비서관으로서 대통령실 살림 전반을 돌보며 인사 업무까지 맡아왔죠.
핵심으로 알려지면서 '만사현통(모든 것은 김 비서관을 통한다)'이라는 별명도 생겼습니다.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겠죠.
대통령실에서도 김 비서관이 국감에 "나가야 한다" "나가지 말아야 한다"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과도한 측근 이미지 불식할 기회"
대통령실 일각에선 "김 비서관의 국감 출석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이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과도한 해석을 불식시킬 기회라는 겁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실제로 (김 비서관 국감 출석) 논의가 있었던 건 맞다"면서 "처음엔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출석해야 한다'는 쪽에선 "안 나가면 국민의힘에 공격 받을 여지만 더 준다"며 "국감에 나가 과도한 '측근 이미지'를 털고 와야 대통령도, 본인도 부담을 덜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 비서관을 잘 아는 한 관계자도 "총무비서관으로서의 김 비서관이 아니라, 김 비서관 자체가 (야당의) 타깃이다. 언젠간 나가야 한다"며 "회피하면 오히려 불필요한 오해를 더 살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혹 떼러 갔다 혹 붙이고 올 수 있어"
반면, 김 비서관의 등판은 이번 국감이 아니라 다른 시점이 돼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됩니다.
또 다른 핵심 관계자는 "정권 초기에 김 비서관을 벼르고 있는 국민의힘의 공세에 급하게 맞받을 필요가 없다"며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려고 나갔다가 오히려 정쟁이 커지고, 갈등 해소도 못할 것이라는 취지입니다. "혹 떼러 갔다 혹 붙이고 오는 상황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조만간 김 비서관의 출석 여부에 대해 국회에서 정리가 될 것"이라며 "그 뜻에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대통령실 내부 논의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당분간 김 비서관의 국감 출석 여부를 두고 정치권의 논쟁은 끊이지 않을 모양새입니다. 김 비서관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이상원 기자 231@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