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윤석열 정부 시기 감사원·권익위원회를 겨냥해 "감사원은 정치보복원으로, 권익위는 윤석열 권익위로 이름을 바꿔야 할 지경"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 원내대표는 오늘(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16일) 감사원 국감을 언급하며 "국민의 기관이 아니라 윤석열의 심부름센터처럼 움직였음이 드러났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그는 "윤석열·김건희 이름이 들어간 감사 청구는 모두 묵살된 반면 민주당과 관련된 사안은 참으로 신속히 처리됐다"며 "2022년에는 584건, 2023년에는 551건의 디지털 포렌식을 진행했는데 대부분이 민주당과 관련된 의혹이었고, 정치검찰은 이를 신속하게 기소했다"고 했습니다.
이어 "이를 주도한 감사원 사무총장의 권세는 가히 상상 초월했다. 감사원장보다 두 배 가까운 특수활동비를 사용했고, 정치검찰에서 배운 대로 단 한건의 증빙도 제출 안 했다"면서 "못된 것은 참 빨리 배우는 모양"이라고 꼬집었습니다.
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 권익위를 향해선 "김건희 명품백 수수 의혹은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처리하며 무혐의로 종결했다"며 "윤석열에게 순응하는 위원만 모여 속전속결 의결됐고 담당 국장급 간부는 견디다 못해 개탄의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등졌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대로 둘 수 없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감사원, 권력으로부터 독립된 국민권익위원회로 철저히 환골탈태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원내대표는 "그 출발점은 검찰, 감사원, 권익위 등에서 기관 전체의 명예를 더럽힌 윤석열 호위무사의 죄상을 밝히고 단죄하는 것"이라며 "이것이 윤석열 정권의 폐해를 바로잡는 첫걸음이자 민주주의 회복의 출발점"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