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막더니…국토차관, 갭투자로 아파트 매입 의혹

2025-10-21 19:02   경제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 갭투자를 전면 금지한, 10.15 부동산 대책 주 책임자인, 이상경 국토부 1차관, "집 떨어질 때 돈 모아서 집사라"고 해 논란이죠.

이 차관, 정작 본인은 지난해 배우자 명의로 33억 원짜리 아파트를 갭투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국토부는 통상적 갭투자와는 다르다고 했지만 여론은 싸늘합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판교 대장 아파트로 불리는 경기 성남시 백현동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이상경 국토부 1차관의 배우자는 지난해 7월, 이곳 전용면적 117㎡를 33억 5천만원에 사들였습니다.

소유권 이전등기는 그 해 말에 했는데, 그전에 임대보증금 14억 8천만 원에 전세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를 통해 매매가의 절반 남짓한 금액으로 잔금을 치를 수 있게 됐습니다. 

일각에서 전세를 끼고 적은 자본으로 매입해 시세 차익을 노리는 '갭투자'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 차관 배우자가 구매한 아파트와 동일한 전용면적의 매물이, 지난 6월 40억 원에 거래됐는데요.

1년 만에 약 6억 5천만원 가량 가격이 오른 셈입니다. 

이에 국토부는 “집을 넓혀 이사하려고 했는데 입주시점을 맞추기 어려워 부득이 전세를 놓은 것”이라며 “통상적 갭투자와는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분당을 비롯해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에서 이유를 막론하고 주택 구매시 2년간 실거주 의무를 부과했습니다.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본인은 갭투기 하면서 다른 사람들 갭투기는 못하게 하는거냐"거나 "내로남불"이라는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이 차관은 또 2017년부터 보유하던 고등동 아파트를 올해 6월 팔아 약 5억 원의 시세 차익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이 집에 다시 전세로 들어가 사는 걸로 알려지면서 갭투자자에게 팔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이락균
영상편집 : 정다은

우현기 기자 whk@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