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A포커스]섬 주민 물 부족…“빗물이라도 받아 마실 판”

2012-03-21 00:00   사회,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내일은 '세계 물의 날'입니다.

뭔가를 헤프게 쓰는 걸 보고
물쓰듯 한다고 합니다.

이젠 그렇게 하다간 큰 일 납니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물 부족,
남의 나라 얘기가 결코 아닙니다.

특히 섬 주민들은
먹는 물조차 제대로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장훈 기자가
그런 섬 마을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봄 가뭄이 불어닥친 섬 마을.

모내기를 앞두고 바쁘게 움직여야 할
트랙터가 논 한 켠에 멈춰섰습니다.

농수 부족에 메말라 버린 논밭.

애타는 농심은 길가에 주저앉아
하늘만 바라봅니다.

마실 물은 더 부족한 상황.

수도 꼭지를 한껏 틀지만 졸졸 흐르는
지하수가 마음을 안타깝게 합니다.

식수로 쓰는 지하수는
언제 바닥날지 모를 상황.

물이 없어 쓰지 못하게 된 세탁기 위에는
먼지만 수북이 쌓였습니다.

[승봉도 주민]
"(왜 손빨래 하세요)세탁기는 아들네가
사줬는데 비닐로 싸놓고 물을 아끼느라…."

[김장훈]
"우리 국민 한 사람이
하루 평균 쓰는 물의 양은 274리터,
이 같은 9리터 짜리 통 기준으로
30개 정돕니다. 하지만 이 곳 주민들은
하루 90리터, 통 10개 정도로
모든 일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민박집 주인들은 물이 없어 손님도
못받습니다.

[민박집 주인]
"손님들이 오셔도
물이 안나와서요.
그러면 민박을 못 받고…."

주민들은 물 부족을 이기기위해
추가 지하수 개발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5, 6년 뒤에는 고갈될 수
밖에 없습니다.

[김경도 승봉도 이장]
"비가 많이 올때 댐을 해서 담수해서
그 물을 쓰는 방법도 주민들은 검토하고…."

이때문에 바닷물을 식음료로 바꿔 사용하는
해수담수화 시설이 필요하지만
이마저도 예산부족으로 쉽지 않습니다.

설치비가 20억 원이나 돼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로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국내 유인도서 490여 개 중
담수화 시설이 설치된 곳은
70여 곳에 불과합니다.

[조윤길 인천 옹진군수]
"재정이 열악해 해수담수화 시설 설치가
어렵습니다.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설치가 되도 어려움은 여전합니다.

해수담수화 시설을 통해 물을 정수할 경우
톤 당 천원 정도, 수돗물 값의
두배 이상이 들기 때문입니다.

봄 가뭄 속에 속만 태우는 주민들.

주민들은 물부족 상태가 계속될 경우
언젠가는 섬을 떠아야할지 모른다며
안타까워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장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