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A]학자 인수위 최대 복병은 ‘논문 표절’

2013-01-05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이번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인선을 보면
전, 현직 교수들이 많습니다.

때문에 논문표절 논란이
인수위 인선의 최대 복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00년 국민의 정부 시절 송자 전 연세대 총장은
자기 논문 표절 의혹으로 교육부장관 후보에서
미끄러졌습니다.

또 2006년 참여정부 때는 고 노무현 정권의 실세였던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이
역시 자기 논문 표절 의혹으로 낙마했습니다.

이번 정부 초기에도 숙명여대 교수 출신인 박미석 사회정책 수석이
제자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으로 검증의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내일 출범하는 박근혜 인수위는 교수 그룹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분과위원 22명 중 교수 출신 의원 3명까지 포함하면 총 16명으로
72.7%가 교숩니다.

5년 전 이명박 인수위의 두 뱁니다.

[인터뷰/박상병 정치평론가]
“역대 많은 공직자들이 논문 표절 문제로 낙마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박근혜인수위도 교수 분들이 많기 때문에 논문 검증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 겁니다.“

그러나 교수 개개인의 논문 전체를 검증하기에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했다는 지적이어서
논문표절 논란이 이번 인수위 인선의
최대 복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박 당선인 측은
학자 위주의 인선을 비판한 야당을 향해
처음 날을 세웠습니다.

[씽크/윤창중 수석대변인]
“국민 대통합을 이루겠다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진심을 왜곡하는 것으로 대단히 유감스럽다. 야당도 내부적으로 할일이 산적한 것으로 안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학자 인수위의 탁상공론에 대한 우려를
국민적 관점에서 비판했을 뿐이라며
인수위가 반대만을 위한 반대를 하고 있다고
재반박했습니다.

채널에이 뉴스 김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