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도기간 연장 할까? 말까?…정부는 ‘오락가락’

2018-12-20 19:57   경제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최저임금 뿐만이 아닙니다.

주52시간 근무제를 놓고도 기업들은 범법자로 몰릴까 전전긍긍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계도기간을 연장할 지를 놓고 오락가락하고 있고, 그걸 바라보는 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현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올해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됐습니다.

하지만 기업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는 처벌과 단속을 유예했습니다.

계도기간 종료일이 열흘 남짓 앞으로 다가왔지만, 이 계도기간을 연장할지를 놓고 관계 당국의 말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틀 전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찾은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유예기간을 연장할지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오늘 열린 경제사회노동위에선 다른 말이 나왔습니다.

[이철수 /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장]
"(계도기간 연장은) 정부가 행정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저희와 직접적 연관성은 없지 않은가 하는 게 개인적 생각입니다."

계도기간 연장은 정부가 판단할 몫이지 위원회에 넘길 사안이 아니라는 겁니다.

기업들은 계도기간이 연장돼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경제단체 관계자]
"탄력근로제를 경제사회노동위에서 논의하고 있으니 그 논의가 마무리될 때까지는 계도기간 연장을 해야 한다."

주52시간 근무제에 대비해 인력 충원 등 준비가 덜 됐는데, 단속이 시작되면 무더기로 적발될 수 있다는 겁니다.

논란이 커지자 고용노동부는 실태조사를 거쳐 이르면 다음주 관련 입장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

정현우 기자 edge@donga.com
영상취재 : 김명철
영상편집 : 박주연
그래픽 : 박정재

▶관련 리포트
1. ‘주휴수당’ 논란…“12일 뒤부터 범법자 기업 될라”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kr/5dVQH

2. 사실상 시급 1만 원대…자영업자 “차라리 폐업”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kr/ivN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