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이 간다]‘온라인 수업’에 집중 어려운 학생들

2020-04-22 20:01   사회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게 된지 2주 정도 됐습니다.

학생들이 없어도 선생님들은 학교로 출근하고 있는데,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만나봤습니다.

김진이 간다 시작합니다.

[리포트]
[김진]
전국의 초·중·고등학교가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하며 학생들과 선생님들 모두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온라인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 그 과정을 함께 보겠습니다.

매일 아침 교무실에선 콜센터같은 모습이 펼쳐집니다.

교사들이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전화로 출결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교사들 통화]
- 빨리 들어와, 지금 조회 시간이야.
- 안녕하세요 어머니. 가온이가 전화를 안 받네요?
- 다현아 일어나, 빨리 들어와. 다시 자지 마라.

이무현 교사는 온라인 수업을 두 달 전부터 준비해왔지만, 그래도 기술적인 문제가 종종 생깁니다.

[이무현 / 역사 과목 교사]
아아, 마이크 테스트 중입니다.
소리가 안 들리네.
미안합니다, 세팅 잠깐만 할게요.

우여곡절 끝에 수업이 시작되고, 며칠 동안 준비한 수업 자료가 화면에 띄워집니다.

[이무현 / 역사 과목 교사]
갑자기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다 보니까 기계적인 부분이나 시스템적인 부분에서의 어려움들(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온라인 방송)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까 오류들이 생기고, 버벅거림이 있어서 보완은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텅 빈 교실에서 홀로 진행하는 음악 수업은 선생님에게도 어색하고 어려운 과정입니다.

[이혜경 / 음악 과목 교사]
선생님이 한 번 하면 여러분이 하는 거예요, 시작. 솔, 라, 시, 도. 숨 쉬고, 도, 시, 라, 솔.

[이혜경 / 음악 과목 교사]
즉각 즉각 아이들이 어떻게 부르는지 반응을 제가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런 아쉬움은 있어요. 우리 아이들이 이 노래를 정말 다 잘 부르고 있는 건지.

과학 수업 촬영은 교사들이 2인 1조로 서로 도와서 진행하는데요, 실험 과정을 촬영하다보니 한 수업마다 녹화에만 서너 시간 이상 걸립니다.

[원수빈 / 과학 과목 교사]
저는 학교를 이번에 처음 (부임 받아서) 왔거든요. 처음 교사가 됐는데.조금 (아쉬워요)

[피디]
아이들 보고 싶으시겠어요?

[원수빈 / 과학 과목 교사]
네, 많이 보고 싶습니다.

선생님이 등장하는 화면으로 학생들과 대화 해봤는데요.

[김진]
잘 보이나요? 이렇게 온라인 강의 하니까 어때요?

[김가영 / 중학교 3학년 학생]
학교에 빨리 가서 열심히 공부해서 친구들과 마지막 좋은 추억도 남기고 싶어요.

이번 주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온라인 개학도 시작됐는데요.

가정의 일상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지후야, 이리와 이제.

EBS 방송으로 수업을 대신하는 초등학교 1학년. 수업을 듣는 과정이 순탄치 않습니다.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지안이 비켜줘야 돼 이제.

엄마가 잠시 자리를 비우자 금세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아이가 수업을 듣는 동안 엄마는 재택 업무를 보는데요, 아이는 곧 엄마에게 다가와 말을 겁니다.

[김지후 / 초등학교 1학년]
저거 게임기 해도 돼요?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안 되지 지금. 엄마가 지후 이제 앞으로 2시까지 공부하는 거랬잖아.

결국 하던 일을 멈추고, 아이 옆에 자리를 잡습니다.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똑바로 앉아.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아직 학교를 제대로 가본 적이 없다 보니까 약간 (입학한) 실감을 못 하는 느낌이에요. 옆에서 계속 안 봐주면 딴 짓하거나 집중을 잘 못 하더라고요.

‘학부모 개학’이라는 말이 틀린 얘기가 아니죠.

[이아영 /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
아이를 보는 시간에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아무것도 못 하니까 많이 힘들더라고요.

교육 당국에선 5월부터 순차적인 등교 개학을 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인데요, 하루 빨리 정상적인 교실 수업이 이뤄지길 바라봅니다.

김진이 간다 김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