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여랑야랑, 정치부 최수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머쓱해진 중대본. 중앙대책본부 이야기인가요.
[기자]
네,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도 서울광장 합동 분향소를 찾았는데요.
합동분향소의 명칭이 이태원 '사고 사망자' 에서 '참사 희생자'로 바뀌었습니다.
중대본은 앞서 전국 지자체에 참사는 사고로, 희생자는 사망자로 표현하라는 지침을 내렸는데, 지침에도 불구하고 표현을 바꾼 겁니다.
Q. 어제까지만 해도 서울광장 분향소는 '사망자'라는 명칭을 썼었잖아요. 왜 갑자기 바뀐건가요.
서울시 관계자는 "앞서 정부 지침을 따랐지만, 돌아가신 분들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희생자'로 표현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용산구청도 오늘 녹사평역에 마련된 합동 분향소의 명칭을 '희생자'로 교체했습니다.
광주와 전남, 전북 등 민주당 소속 단체장인 지역에서는 지난 2일부터 이미 공식 명칭을 '희생자'로 바꿨습니다.
Q. 사망자가 맞냐, 희생자가 맞냐. 공식 명칭을 두고 정치권이 계속 시끄러웠죠.
네 민주당은 정부의 책임 회피 수단이라며 공세를 폈었습니다.
[이성만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2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
"개인들이 자기주의를 잘하지 못해서 생긴 것이 아니냐는 것을 은근히 암시하기 위해서, 즉 본인의 면피를 위해 이런 용어를 쓰지 않나…."
[오영환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2일 / 운영위)]
"이런 논란이 발생하는 것 자체가 이런 참사로부터 마땅히 보호받아야 되는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당하고 있는 겁니다."
정부는 논란이 계속되자 권고 사항일 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박종현 / 행안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지난 2일)]
"재난 관련해서는 용어를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그런 일종의 내규 이런 게 있습니다. 희생자 이런 표현을 써도 되느냐? 됩니다. 저희는 이것을 권고한 것이고요. 얼마든지 쓸 수 있습니다."
Q. 대통령실 입장은 뭔가요? 윤석열 대통령도 참사 희생자, 이런 표현을 썼던거 같은데요?
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은 첫 대국민 담화 때부터 이태원 참사라고 했고, 희생자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고 했습니다.
결국 중대본 지침이 괜한 정쟁의 소재만 된 셈이 됐는데요.
책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중립적인 용어를 썼다고 하지만, 국가적 참사 앞에서는 국민 눈높이도 감안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Q.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 진심 어린 'OO' ('사과'). 윤석열 대통령이 연일 사과를 했어요,
네, 앞서 보신 것처럼 윤 대통령은 이틀 연속 이태원 참사 추모 행사에 참석해 사과했는데요.
어제 조계사에서는 첫 사과를 했습니다.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께도 위로의 말씀을 올립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대통령으로서 너무나 비통하고 죄송한 마음입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에는 비공개로 희생자 빈소를 찾았습니다.
이후 대통령실 공지를 통해, 당시 윤 대통령이 유족에게 " 대통령으로서 죄송하다"고 사과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Q. 그런데 야당에서는 대통령의 사과가 부족하다는 입장이군요.
네, 야권에서는 진심 어린 사과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임오경 /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어제)]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는 너무 늦었습니다. 그리고 미흡합니다. 무엇이 죄송한지 무엇이 정부의 책임인지 분명히 말씀하셨어야 합니다.
공식 사과한 장소를 두고 비판하기도 했는데요
[박지원 / 전 국정원장]
불교 행사에 가셔서 하는 것은 마치 대통령 사과 안 하냐 하니까 한덕수 총리가 행안위에서 행안부 장관이 사과했다. 또 빈소에 가서 사과했다. 이런 거하고 똑같습니다.
박 전 원장은 오늘 강연에서도 "윤 대통령은 '석고대죄'를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Q. 참사 직후만 해도 민주당이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 했었는데요. 국가애도기간이 끝나면 본격적인 대여공세에 나설 모양이에요?
네, 민주당 이태원참사 대책본부는 내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대응의 문제점을 지적할 계획입니다.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은 반드시 필요하죠.
하지만 불필요한 정쟁으로 흐르기보다는 참사 트라우마로 힘든 국민의 마음을 보살피는 게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국민위로)
여랑야랑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