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북미정상회담 합의문에는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CVID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이 기자회견까지 열어 'CVID'를 압박했는데, 정작 회담장에선 미국의 의견이 관철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여)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이 함께한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전혜정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북미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의기양양하게 들어올린 합의문에
그 동안 공언해왔던 CVID의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는 담기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 발 물러선 것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CVID라는 구체적인 조항을 왜 합의문에 넣지 못했나요?) 솔직히 시간이 없었습니다. 저는 여기 고작 하루 있었습니다."
성 김 필리핀 대사를 대표로 한 미국 측 협상단은 판문점에 이어 싱가포르에서까지북 측과 릴레이 회담을 펼치며,
정상회담 합의문에 CVID를 명기해야 한다고 요구해왔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 미 국무장관(그제)]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만이 미국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입니다.'V(검증)'이 중요합니다."
결국 단계적 비핵화를 위한 시간표조차 합의문에 담지 못한 겁니다.
13년 전, 6자회담 9.19 공동성명에 '검증가능한 비핵화' 목표까지 담았지만 결국 파행을 맞고 마주 앉은 두 정상.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서도 CVID를 과연 달성할 수 있을지, 기대와 의구심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전혜정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범
영상편집 : 박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