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5일 캄보디아 스캠(사기) 산업에 연루된 한국인이 1000명 남짓으로 파악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캄보디아 당국에 구금된 60명을 늦어도 이번 주말 국내 송환하는 것을 목표로 항공편을 준비 중입니다.
위 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국인 대상 범죄 피해가 확산하는 캄보디아 문제와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부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현지 공관에 접수된 감금 관련 신고는 약 330명, 외교부 공관 신고를 포함하면 약 550명인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대다수 사안이 처리된 가운데 현재 처리 중인 신고 건은 70여 건이라고 위 실장은 설명했습니다.
최근 현지에서 고문당해 숨진 대학생의 시신 운구가 지연된 상황과 관련해서는 "유가족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공동 부검을 요구한 것과 관련이 있다"며 "캄보디아 측에서는 공동 부검이 흔치 않기 때문에 소화하려면 내부 절차가 있고, 내부 절차가 진행되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최근 캄보디아 측과 공동 부검 문제에 대해 협의가 잘 됐다. 공동 부검을 조만간 실시하고 국내로 운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캄보디아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 현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 실장은 "정부로선 지난 7월과 9월 캄보디아 측에 두 차례 단속 결과로 검거된 우리 국적 범죄 혐의자 60여 명을 조속히 한국으로 송환하는 데 우선순위가 있다"며 "무엇보다 범죄 현장으로부터 이들을 신속히 이격시키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내로 송환한 후에는 조사해서 범죄 연루 정도에 따라 사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지금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현재도 그 안에서 감금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있는, 또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분을 신속히 한국 귀국시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위 실장은 현지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60명 송환 계획과 관련해서는 "관건은 캄보디아 측과 논의가 얼마나 빨리 진전되냐인데, 이번 주 안이라도 우린 (송환)하고자 한다"며 "주말까지 해보려 한다. 항공편도 다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